[아하!東亞]<22> 논설위원 정인보, ‘조선의 얼’ 일깨우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얼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민족의식 북돋워
일제때 무기정간까지 440회 연재… 위당, 광복후 4대 국경일 노래 작사

1935년 1월 1일 실린 위당 정인보의 ‘5천년간 조선의 얼’ 첫 회. 동아일보DB
1935년 1월 1일 실린 위당 정인보의 ‘5천년간 조선의 얼’ 첫 회. 동아일보DB
“다만 우리의 앞길을 우리가 열어서 민복을 바라시던 성심(聖心)을 만일이라도 위로하여 드리려할 뿐이다. 슬프다. 우리의 눈물은 곧 대행(大行·임금이 죽고 시호를 올리기 전의 칭호)의 눈물이시라.”―1926년 6월 10일 동아일보 1면 사설

순종의 인산일, 망국의 황제를 떠나보내는 이 사설의 필자는 일제강점기 민족의 얼을 깨운 근대 국학 연구의 태두였던 위당 정인보 선생(1893∼1950)이다. 그는 1924년 5월 동아일보 논설반 기자(논설위원)가 된 이후로 동아일보에 수많은 논설과 기사, 논문을 발표했다.

동아일보는 위당이 직접 쓴 ‘5천년간 조선의 얼’을 1935∼1936년 무려 440회에 걸쳐 연재했다. 연재는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본보가 무기정간당할 때까지 계속됐다. 위당은 이 연재를 통해 한민족이 주체가 되는 역사체계를 수립하려 했다. “‘얼’이 없으면 곧 사람이 아니다.…‘저는 저로서’가 이른바 ‘얼’이니 여기 무슨 심오함이 있으며 무슨 미묘함이 있으랴?”(1935년 1월 3일, ‘5천년간 조선의 얼’)

오늘날까지도 연구가 활발한 다산 정약용의 학문을 당대로 불러낸 것 역시 정인보였다. 위당이 동아일보에 1934년 9월 10∼15일 6회에 걸쳐 기고한 ‘유일한 정법가 정다산 선생 서론’은 근대 최초의 실학 연구물로 꼽힌다.

위당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 유적 보존 사업 등 민족의식을 북돋우려는 동아일보의 사업에도 앞장섰다. 충무공 묘소의 위토 경매 소식이 알려진 뒤 1931년 5월 14일 본보 사설을 통해 “위토와 묘소마저 넘어갈 처지에 이르렀음은 민족적 수치에 그치지 않고 민족적 범죄”라며 “이것을 계기로 우리는 일층 민족문화에 대한 숭앙심과 애착심을 불러일으켜야 한다”고 호소한 것도 그였다.

1931년 3월 30일자에는 독자의 요청으로 정인보의 서재 풍경을 소개한 기사가 실렸다. “비록 누더기 되고 좀은 먹었으나 그 속에는 고조선에 빛나는 역사와 문화 그리고 온갖 우리의 실물이 들어 있는 금광입니다. 이 광 속에서 작업하는 교수는 옛 보물을 찾기에 눈이 붉은 조선의 귀한 광부입니다”라고 했다.

‘조선의 귀한 광부’였던 위당은 광복 뒤 5대 국경일 중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의 노래를 작사했고, 초대 감찰위원장(감사원장)을 지내기도 했으나 6·25전쟁 당시 납북돼 사망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동아일보#일제#무기정간#연재#위당#광복#논설위원#정인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