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영 선생 등 독립유공자 훈장 등급 높인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3월 6일 03시 00분


정부, 독립운동 훈격 공감위 구성

일제강점기 당시 독립운동단체 ‘대한광복회’의 총사령을 지낸 박상진 의사(1884∼1921)는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5개 등급으로 나눠진 건국훈장 중 3등급에 해당하는 훈장이었다. 1917년 친일파 부호 장승원을 사살하는 등 친일파 근절에 앞장섰고 만주로 세력권을 확대해 활동하다 체포된 뒤 순국하는 등 공적에 비하면 훈격이 낮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대한광복회 부사령을 지낸 김좌진 장군(1889∼1930)이 대한민국장(1등급)을 받은 것을 들어 형평성 논란도 이어졌다.

공적에 비해 낮은 격으로 서훈됐다며 훈격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온 독립유공자에 대한 공적 재평가 작업이 정부 주도 아래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국가보훈처는 “훈장의 격을 높이기 위한 공적 재평가 방안을 찾기 위해 역사학계와 법조계 등 각계 전문가로 ‘독립운동 훈격 국민공감위원회’를 구성했다”며 “첫 회의를 7일 열 예정”이라고 5일 밝혔다. 위원회는 유영렬 안중근의사기념관장을 위원장으로 총 17명으로 구성됐다.

보훈처에 따르면 훈격 상향 주장이 제기돼 온 독립유공자는 대표적으로 김상옥(대통령장·1962년 서훈), 박상진(독립장·1963년), 이회영(독립장·1962년), 최재형(독립장·1962년) 등이다.

최재형 선생(1860∼1920)은 1909년 안중근 의사에게 이토 히로부미 처단 장소로 하얼빈을 추천했고, 저격에 사용한 권총도 제공한 인물. 1908년 1만3000루블을 군자금으로 쾌척해 항일 의병조직 동의회(同義會) 조직에 기여하는 등 ‘러시아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로 불렸지만 독립장을 받는 데 그쳤다.

정부는 독립유공자에 대한 대규모 서훈이 진행된 1960년대 초반 이후 6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르는 동안 관련 인물들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추가 공적 사료가 다수 발견된 만큼 이를 바탕으로 훈격 상향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현행 상훈법이 동일한 공적에 대해서는 훈장을 중복 수여할 수 없도록 하고 있는 만큼 추가 발견 공적을 종합하는 방식으로 공적을 재평가해 훈격 상향에 활용할 예정이다.

박민식 보훈처장은 “과거 서훈된 분들은 당시까지 확인된 자료만으로 훈격이 부여돼 억울한 사례가 많다”며 “서훈 이후 추가 확인된 공적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해 공적에 걸맞은 훈격을 되찾아 드릴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독립유공자#훈장 등급#독립운동 훈격 공감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