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林彩靑기자] 노동관계법사태에 연이어 터진 한보그룹 부도가 신한국당의 대선예비주자들을 또다시 곤혹에 빠뜨렸다.
여권(與圈)의 일부 유력인사들까지 포함한 의심이 세간에 있는데다 야당들이 「권력형 비리」라며 대여(對與)정면공세를 취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특히 국민회의 金大中(김대중)총재는 金泳三(김영삼)대통령에 대한 조사까지 거론했고 자민련도 『김대중총재의 당연한 지적』(李圭陽·이규양부대변인)이라며 동조했다. 다만 金鍾泌(김종필)총재는 아직 공개적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신한국당 대선예비주자들은 철저한 수사와 진상규명 및 파문의 조기수습을 한결같이 희망하고 있다. 다만 한보사태를 보는 시각은 약간씩 다르다.
李洪九(이홍구)대표는 당 공식회의 등을 통해 『여러가지 의혹이 난무하는 만큼 검찰조사를 통해 이를 풀어야 한다. 이번 사태는 금융개혁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李會昌(이회창)고문은 한보사태의 원인과 문제점에 대해서는 『검찰수사를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그러면서 이고문은 『정부는 엄정한 조사로 국민의 의혹과 불신을 하루빨리 해소하고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朴燦鍾(박찬종)고문은 『금융자산도 국민자본의 하나인데 한보사태는 그동안 금융자본이 너무 비효율적으로 배분돼 왔음을 보여주었다』고 상대적으로 분명한 태도를 내보였다.
박고문은 『근로자들의 내집 마련을 위한 전용면적 18평의 주택자금 대출한도가 1천2백만원인데 비하면 천문학적인 액수가 무책임하게 대출된 한보사태는 금융자산의 무원칙한 배분사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李漢東(이한동)고문은 『과거 몇차례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빚었던 한보그룹이 또다시 엄청난 비리의혹의 대상이 돼 놀라울 뿐』이라며 『노동관계법사태로 가뜩이나 불안해하고 있는 국민들이 이번 한보사태로 더욱 불안해 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고문은 『구조적비리 척결과 비리관련자 엄중문책으로 국민들을 안심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계의 崔炯佑(최형우)고문이나 金德龍(김덕룡)의원측도 국민적 의혹이 증폭되고 있는 만큼 철저히 수사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으나 여권유력인사들의 관련의혹에 대해서는 『그럴 리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이들은 김대통령이 연두 기자회견에서 밝힌 금융개혁의 당위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