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씨 인사개입 파문]야권 『청문회만으론 안된다』

  • 입력 1997년 3월 11일 19시 45분


국민회의와 자민련 등 야권은 金賢哲(김현철)씨가 국정전반에 깊숙이 개입했다는 사실이 속속 확인되자 11일 공세의 차원을 넘어 현철씨에 대한 「사법처리문제」까지 언급하기 시작했다. 야권은 朴慶植(박경식)씨 등의 증언으로 현철씨의 비리가 확인된 마당에 한보청문회출석을 놓고 논쟁을 벌이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입장이다. 청문회출석은 물론이고 사법적 처리도 불가피하다는 것이 야권내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야권은 정치권에서 더 이상 문제제기를 하지 않더라도 관련자들의 폭로와 언론의 추적보도로 조만간 그 진상이 밝혀질 것으로 보고 있다. 야권일각에서는 오히려 대선전략상 현시점에서 현철씨 비리가 완전히 드러나는 것이 바람직스럽지 않다는 생각까지 갖고 있다. 일각에서는 『현철씨를 단속하라는 야당주장에 일찍 귀를 기울였으면 이렇게까지는 안됐을 것』이라며 동정론을 펴기도 한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11일 현철씨의 청문회증인출석을 거듭 촉구했다. 국민회의는 이날 현철씨의 국정개입 7대비리를 정리해서 제기했다. 鄭東泳(정동영)대변인은 『더 이상의 물증은 필요없다. 현철씨에 대한 검찰조사와 증인출석이 이뤄지지 않으면 국민적 분노는 하늘을 찌를 것이고 국가는 돌이킬 수 없는 위기상황으로 빠져들게 될 것을 우려한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현철씨에 대해 당차원의 공식언급을 자제했던 자민련도 이날 『여권은 현철씨를 청문회증인으로 출석하도록 결정하는 수밖에 다른 길이 없다. 우리는 현철씨가 「제2의 대통령」을 연상시키는 것 같아 불쾌하고 한심하기 짝이 없다』(安澤秀·안택수대변인)며 단호한 입장을 피력했다. 자민련은 이제 현철씨의 증인출석은 피할 수 없는 「막다른 골목」에 다다랐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한보사태 고발센터 등에 들어온 제보들에 대한 확인작업을 강화하고 있다. 한보특위 간사인 李麟求(이인구)의원은 『현철씨를 증인으로 채택하지 않으면 국조특위는 가동하나마나』라며 『박경식씨의 녹음테이프에 들어있는 청와대 인사나 장관들도 그냥 넘어가지는 못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최영묵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