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채청기자] 金賢哲(김현철)씨의 17일 대국민사과성명 발표는 현철씨 처리문제에 대한 여권핵심부의 의견조율이 끝났음을 의미한다.
그동안 여권내에는 두갈래 흐름이 혼재했다. 현철씨를 청문회 증언대에 세우고 사법처리까지 할 경우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이 야권이나 여론의 다음 표적이 돼 걷잡을 수 없는 국정혼란이 우려된다는 신중론이 한 갈래였다.
반면 현철씨 처리를 미룰 경우 정국은 끝없이 표류할 것이고 더이상 미적거리기에는 상황이 너무 악화됐으므로 하루 빨리 매듭지어야 한다는 정면대응론이 다른 한 갈래였다.
국민정서상 김대통령이 아들까지 「울며 베는」 모습을 보이면 들끓는 여론도 얼마간 진정될 것이라는 기대나 현철씨 처리문제를 차기정권으로 넘기는 것보다는 현정권에서 처리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정면대응론을 뒷받침했다.
여권핵심부의 입장이 정면대응 쪽으로 정리된 것은 김대통령의 결심에 따른 귀결이다. 현철씨의 대국민사과도 아버지의 뜻을 헤아린 선택인 것 같다. 현철씨의 한 측근은 『현철씨는 지금 모든 것을 각오하고 있다』며 『요즘은 측근들의 언론접촉조차 금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철씨가 국회청문회 증인출석과 검찰재조사를 수용함으로써 여권의 대야(對野)협상과 정국수습노력은 탄력이 붙고 검찰수사도 급진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회청문회와 검찰수사과정에서 실체적 진실을 얼마나 밝혀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만일 진실규명이 국민의 기대에 못미칠 경우 정치권의 부담이 오히려 가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권 일각에서는 자칫 김대통령의 국정통제력이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손상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 또 현철씨를 증언대에 세우자고 주장한 야권도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수준의 추궁을 해야 할 부담을 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