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김현철씨 수사 『이번엔 사법처리』 물증확보 총력

  • 입력 1997년 3월 17일 20시 16분


[서정보기자] 『제게 잘못이 있다면 어떤 처벌이라도 달게 받겠습니다. 필요하다면 검찰 재조사도 회피할 생각이 없습니다』 金賢哲(김현철)씨가 17일 대국민사과문을 발표함으로써 검찰의 현철씨 수사는 이제 아무 장애가 없어진 셈이다. 지난 주말을 고비로 청와대와 신한국당이 김씨에 대한 국정조사 증인채택과 청문회 생중계 허용을 사실상 수용했고 검찰도 내부적으로 철저한 수사를 다짐해 김씨에 대한 사법처리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 17일 오전 崔明善(최명선)대검차장은 崔炳國(최병국)중수부장 金相喜(김상희)수사기획관, 주임검사인 李勳圭(이훈규)중수3과장을 불러 수사대책회의를 가졌다. 수사에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수사 실무자들이 모여 구체적인 회의를 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인 점을 감안할 때 검찰수사는 이번주부터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검찰은 한보수사 당시 여론에 밀려 김씨를 구체적인 물증없이 소환조사했다가 무혐의처분한데 대한 국민적인 비난을 이번 수사를 통해 극복해야 한다는 이중의 부담을 안고 있다. 대검의 고위관계자는 『현철씨 수사는 한보사건 수사 때처럼 국민여론에 밀려 서두르다가 졸속 축소은폐수사라는 의혹을 키우는 식으로는 하지 않을 것』이라며 『차분하고 철저한 수사를 함으로써 가능한 한 국민의 의혹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씨에 대한 검찰수사는 이권개입과정의 뇌물수수 등 범죄혐의가 드러나면 처벌하는 「법대로」의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사개입의혹 등 국민적인 관심사까지 해결하는 「순리대로」의 차원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검찰내부의 다수 의견은 이번 수사를 검찰의 명예를 회복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검찰은 광범위한 방증자료 수집과 함께 △김씨의 사조직 운영과 활동자금의 출처 △지역민방과 유선방송 선정과정에서의 이권개입 △한보전환사채보유설 등 갖가지 의혹들을 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확인, 의혹을 하나씩 차분히 풀어나간다는 입장이다. 검찰의 수사가 일주일이 지나도록 아직 뚜렷한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은 이런 기본적인 검찰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검찰관계자들도 김씨의 소환시기는 수사의 시간적 기술적인 면에서 볼 때 상당히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하고 있다. 김씨를 재소환할 경우 구속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는 만큼 확실한 물증과 진술을 확보한 뒤 소환해야 한다는 것이 그 이유라고 이 관계자들은 덧붙였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