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측의 남북한 및 미국이 참가하는 「3자 準고위급 협의」 제의를 4자회담에 대한 북한측의 진일보한 태도라고 긍정적으로 평가, 이를 수용키로 내부방침을 정하고 세부적인 대책마련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특히 3자 準고위급협의가 단순히 설명회에 대한 북한의 입장을 밝히는 자리가 돼서는 안되며 4자회담을 위한 예비회담 및 본회담 개최문제를 논의하는 예비접촉의 성격이 돼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하고 중국측과도 이문제를 협의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5일 『정부의 입장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4일 뉴욕실무접촉에서 북한이 설명회 당시와 같은 수준의 「고위급 후속협의」를 개최하자고 제의한 것은 일단 4자회담 성사 가능성을 조금 더 높인 긍정적 태도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準고위급협의는 공동설명회에 대한 북한의 공식적인 입장표명을 밝히는 자리로 성격이 제한돼서는 안되며 4자회담 예비회담 및 본회담의 절차 의제 대표급문제 등을 협의하는 예비접촉이 돼야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조만간 청와대 통일원 외무부 안기부 등이 참석하는 관계부처간 협의를갖고 북한의 제의에 대한 최종입장을 정하고 대책마련에 나설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빠르면 이달 중순께 宋永植(안영식) 외무부 제1차관보와 金桂寬(김계관) 북한외교부부부장 찰스 카트만 美국무부 東亞·太담당 차관보대행이 참석하는 3자 준고위급회담이 뉴욕에서 개최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그러나 對北식량 지원문제에 대해서는 4자회담참가를 전제로 한 식량지원은 원칙적으로 불가하다는 입장을 계속 견지할 방침이며 다만 인도적 차원에서 국제기구를 통한 지원에는 적극 동참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