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리스트」거론됐다 빠진 의원들『내 명예 돌려주오』

  • 입력 1997년 4월 23일 20시 18분


「鄭泰守(정태수)리스트」에 올라 있는 정치인 33명의 명단이 모두 확인됨에 따라 그동안 일부 언론에 의해 한보관련사실이 거론됐으나 일단 「결백」한 것으로 밝혀진 현직의원 등 정치인들은 잘못된 사실을 보도한 언론사를 상대로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를 신청하거나 법적 대응을 검토하는 등 명예회복을 위해 애쓰고 있다. 물론 검찰의 추가수사 과정에서 새로운 사실이 드러날 가능성도 현재로서는 배제할 수 없다. 다음은 현역의원들의 반응. [신한국당] ▼崔炯佑(최형우)의원〓사실확인도 없이 허위사실을 보도한 신문사를 상대로 언론중재위에 중재신청을하기 위한 모든 준비를 마쳤다. 중재신청후 납득할 만한 조치가 없으면 해당 신문사를 상대로 명예훼손소송을 제기할 생각이다. ▼朴明煥(박명환)의원〓오보를 하지 않은 동아일보를 제외한 14개 언론사를 상대로 언론중재위에 정정보도를 신청할 방침이다. 지난 7일 모 조간신문에 처음 잘못된 사실이 보도된 후 다른 언론들도 확인도 하지 않고 그대로 보도했다. ▼朴佑炳(박우병)의원〓확인전화 한통 없이 잘못된 보도가 나가 많은 항의전화를 받았다. 한보측과 아무런 관계도 없는데 어떻게 그런 의혹이 제기됐는지 아직도 모르겠다. 지난 19일 언론중재위에 잘못된 보도를 한 신문을 상대로 정정보도를 신청했다. [국민회의] ▼鄭漢溶(정한용)의원〓마녀사냥도 아니고 무작정 국회의원 때려잡기식 보도 때문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기만 했다. 지역구에서 『국회의원 시켜놨더니 돈이나 받아 처먹는다』는 항의전화를 수없이 받았다. 지난 8일 5개 언론사를 상대로 언론중재위에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를 신청했으며 사과와 정정보도를 약속한 4개 언론사에 대해서는 신청을 취하했다. ▼朴光泰(박광태)의원〓일주일 동안 확인도 하지 않고 계속 기사를 쓴 언론사를 상대로 정정보도를 요구하고 형법상 저촉 여부를 검토해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할 방침이다. 〈이호갑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