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민자당 경리부대리 金載德(김재덕)씨의 폭로발언으로 다시 불붙기 시작한 92년 대선자금 문제를 둘러싸고 여야의 공방전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야권의 강한 공세에 잠시 침묵하던 신한국당측이 1일 정면대응 태세를 보여 전황(戰況)이 복잡해지는 양상이다.
대여(對與) 공세를 주도하는 국민회의는 1일 金大中(김대중)총재 趙世衡(조세형)총재권한대행 이종찬 부총재 등 당지도부가 직접 나서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을 겨냥하며 공격 강도를 끌어올렸다.
특히 김총재는 대선자금중 대가성있는 부분에 대한 처벌을 주장하는 등 그동안 「과거문제」에 대해 비교적 신중했던 태도를 바꿔 눈길을 끌었다. 조대행은 92년 대선 당시 민자당선거대책위원장이었던 鄭元植(정원식)씨가 선거 직후 천문학적 숫자의 대선자금잔여분을 김대통령에게 인계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당차원에서 대선자금제보전화를 설치하고 거당적으로 대선 당시 민자당지구당조직가동비와 사조직운영비에 대한 조사에 착수, 전면전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자민련도 대선 민자당출신 사무처 요원들이 수집해온 대선관련자료의 일부 내용을 흘리면서 대여압박전략 구사에 나섰다. 그러나 金鍾泌(김종필)총재는 대선 당시 민자당대표였던 입장 때문인지 관련자료의 폭로에는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편 그동안 수세적인 대응을 해오던 신한국당은 이날 강경으로 급선회, 반격에 나섰다.
李允盛(이윤성)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야당이 선거법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국민 정서를 악용, 김대통령이 선거비용을 축소보고한 것처럼 음해하고 실체적 비용파악이 불가능한 부분까지 밝히라고 억지 주장을 펴고 있다』고 비난했다.또 金忠根(김충근)부대변인은 김대중총재 이종찬부총재 吳佶錄(오길록)민원실장 등을 싸잡아 비난하는 논평을 별도로 발표했다.
신한국당측의 이같은 반격은 「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전략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야권에 대한 무차별적 반격으로 과연 대선자금 공개압력을 제어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최영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