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북경 남북적십자 대표접촉에서 양측은 세부적인 지원절차와 관련, 상당한 의견접근을 이뤄 일단 순조로운 출발을 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측은 지엽적인 절차문제보다는 이번 회담의 초점을 식량지원폭을 늘리는데 맞추는 자세를 보였다. 이 때문에 절차문제를 둘러싼 양측의 협상은 순조롭게 진행될 것 같다고 한적측 한 참석자가 전했다.
북적의 백용호대표도 이날 회담이 끝난 뒤 『판문점 전달이나 분배과정 투명성보장 등은 오래전부터 나온 얘기가 아니냐』며 『대신 지원규모 등을 명백히 해야 된다』고 밝혀 이같은 가능성을 뒷받침했다.
이날 접촉에서 양측은 우선 구호물자의 전달경로에 상당한 의견접근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한적측은 현재 국제적십자사를 통해 인천∼남포항으로 전달되는 「제삼자」경로에 대해 △수송비부담이 크고 △일부 품목은 수송이 어려울 뿐아니라 △지원물품을 모으기 위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 등을 들어 별도의 통로확보를 주장해왔다.
이에 따라 속초∼원산항 등 동해안에 추가로 해로를 개설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됐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남북간 원활한 연락창구확보를 위해 그동안 유명무실했던 서울∼평양간 직통전화 재가동에 합의한 것도 성과중 하나다.
또 구호물자 제공자의 표시문제와 관련해서도 「한적」을 표시하는 선에서 절충점을 찾을 가능성이 높다.
양측은 또 구호물자 분배지역을 크게 확대하는 데에도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적이 국제적십자사를 통해 북한에 지원한 구호물자의 대상은 15개 시 군 2만6천가구 13만여명에 국한돼 있다. 그러나 한적측은 제공자가 희망하는 지역에 조건없이 전달하는 방안을 제시했고 북한측도 이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것.
물론 양측이 최종 합의에 이르기까지 넘어야할 산은 아직 많이 남아 있다. 북적측이 당장 대북(對北)식량지원규모의 확대를 요구하고 나선데 대해 한적측의 입장이 아직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또 남북간 접촉이 막판에 결렬된 적이 많았던 전례에 비춰볼 때 최종 타결까지 접촉이 순항할는지 쉽게 낙관할 수만은 없다는 게 정부관계자들의 전망이다.
〈북경〓정연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