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賢哲(김현철)씨가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의 대선자금중 남은 일부를 관리해 온 사실이 검찰수사결과 확인됨으로써 현철씨 수사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현철씨 수사는 이제 단순히 현철씨를 개인비리로 구속하는 차원을 넘어 김대통령의 대선자금 문제로까지 확대되느냐 마느냐의 고비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철씨는 대선자금 잉여금 등을 돈세탁을 거쳐 숨겨온 것으로 확인돼 全斗煥(전두환) 盧泰愚(노태우)전대통령의 비자금 관리수법을 연상케 하고 있다.
현철씨는 자신의 측근인 朴泰重(박태중)씨를 통해 치밀한 돈세탁을 거친 뒤 또다른 측근인 李晟豪(이성호)씨가 운영하는 업체에 돈을 숨기거나 양도성예금증서 무기명채권 등 고수익상품에 투자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현철씨는 대선자금 잉여금을 감춰두고 별도로 평소 잘 아는 기업인과 측근들에게서 선거자금과 활동비 명목으로 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관계자는 『현철씨가 대선자금 잉여금과는 별도로 기업인들에게서 돈을 받은 사실을 알고 우리도 놀랐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검찰이 김대통령의 대선자금에 대해 본격수사에 착수했다고는 할 수 없다.
현철씨가 관리해온 대선자금이 이번 수사의 본류(本流)가 아닌데다 이 돈이 현철씨가 대선기간중 조성한 돈일 경우 처벌할만한 대상이 안된다고 검찰은 보고 있기 때문이다.
검찰은 대선자금 잉여금 1백32억원도 현철씨의 비리를 추적하기 위해 박태중씨와 가족 및 측근 명의의 98개 계좌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확인한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그동안의 계좌추적 결과 대선자금 잉여금 1백32억원이 모두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이 중 상당부분은 이미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해 사용처를 상당부분 확인했음을 시사했다.
다만 대선자금 잉여금이 갖고 있는 폭발성을 감안, 문제의 1백32억원의 자세한 내용과 사용처 등의 공개여부를 놓고 고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그동안의 대선자금 수사 결과와 대선자금 전면수사 여부는 현철씨의 형사처벌이 마무리된 뒤 국민여론과 정치권 등의 반응을 보아가며 최종결정될 것이라는 것이 지배적인 전망이다.
〈양기대·하종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