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지방자치단체와 국회의원에 대한 사정당국의 내사설이 흘러나오자 『대선자금공개를 회피하기 위한 표적사정』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신한국당은 야당의 「표적수사」주장에 대해 『부정부패의 척결에는 임기나 성역이 있을 수 없으며 고위공직자에 대한 부정비리수사는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며 일축했다.
▼ 야권 ▼
내사설의 진원지가 검찰이 아닌 청와대라는 점에서 그 순수성을 의심하고 있다. 더욱이 내사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주로 야권인사라는 점에서 흥분하고 있다.
국민회의 金大中(김대중)총재는 23일 오전 내사설이 나돌고 있는 宋彦鍾(송언종)광주시장 柳鍾根(유종근)전북지사와 통화했다. 두 광역단체장들은 김총재에게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알 수가 없다』며 결백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19일 전당대회 직후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의 축하전화까지 받았던 김총재도 『뭘 하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김대통령에 대한 강한 배신감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회의 趙世衡(조세형)총재권한대행도 이날 긴급소집한 간부회의에서 『느닷없이 사정의 칼을 들어 주로 야당 단체장과 국회의원을 표적수사하는 것은 대통령의 아들 구속을 희석시키려는 명백한 국면전환 시도』라고 규정했다.
자민련도 이날 간부회의를 소집, 『이번 내사는 대선을 겨냥한 노골적인 야당파괴와 자치단체장 길들이기』라며 김대통령의 대선자금 공개와 金賢哲(김현철)씨 인맥정리를 촉구했다.
▼ 신한국당 ▼
李允盛(이윤성)대변인은 23일 논평을 통해 『야당은 또 「표적수사」니 「국면돌파용」이니 하면서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며 『이제는 야당도 엄정한 법집행까지 당리당략에 따라 폄하하고 책임을 전가하는 치졸한 작태를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신한국당의 다른 관계자는 『내가 알기로는 한보사태만 없었다면 연초부터 대대적인 공직자사정이 있었을 것』이라며 『대통령 임기말에 권력누수현상과 국정공백을 막기 위해 공직기강을 바로잡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한보사태로 정부가 크게 흔들리면서 공직자비리가 다시 만연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며 『정부의 공직자사정은 나라와 국민을 위한 것인데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참으로 유치한 발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이번 공직자사정이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지방자치단체를 장악하기 위한 것처럼 비쳐져 선거때 여당후보에게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윤영찬·김정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