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동-박찬종고문,『경선 불공정땐 탈당』 시사

  • 입력 1997년 5월 29일 19시 56분


신한국당 李漢東(이한동)고문과 朴燦鍾(박찬종)고문의 최근 언행을 들여다보면 뭔가 종전과는 다른 변화가 감지된다. 李會昌(이회창)대표의 대표직 고수를 경선 불공정성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한 목소리를 내 온 두 사람의 입에서 「경선 후유증」이라는 표현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정치권에서 「경선 후유증」이라는 말은 보통 「경선결과 불복→탈당」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미묘한 발언」임에 틀림없다. 특히 이고문은 29일 오전 기자간담회에서 『金泳三(김영삼)총재는 지난 두달 동안 현 지도부로 인해 국정표류가 더욱 심화한 점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며 『정국혼란을 순리적으로 조속히 해결하지 않을 경우 정권재창출과 국리민복이라는 막중한 책무에 차질을 빚은 책임은 전적으로 당총재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대표 견제를 넘어 김대통령에게 직접 「총부리」를 들이댄 것이다. 박고문 역시 요 며칠 사이 부쩍 「경선후유증」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측근들은 『당총재가 약속한 공정한 경선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탈당할 의사가 없더라도 당을 나가달라는 의사표시로 밖에 볼 수 없지 않느냐』는 얘기를 공공연하게 하고 있다. 물론 현재로선 두 사람의 이같은 입장이 「탈당 암시」라기보다는 이대표에 대한 막판 압박카드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대표의 대세론만 견제하면 이고문은 「당심(黨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박고문도 국민지지도에서 자신이 앞서기 때문에 경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선가도에서는 어떤 변수가 튀어나올지 모른다. 그래서 두 사람의 「경선후유증」 경고가 압박카드만은 아닐지 모른다는 말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김창혁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