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사이에 李會昌(이회창)대표 사퇴, 李萬燮(이만섭)대표서리체제 출범, 정발협의 활동중단 등 신한국당내 경선구도와 직결되는 「대형사건」들이 잇따르자 당안팎의 관심은 그 배경에 모아지는 분위기다.
정발협이 전격적으로 특정주자 지지방침 철회를 선언한 것은 청와대측과의 「사전조율」 결과라는 시각이 많다. 金光一(김광일)대통령정치특보의 「밀행(密行)」 때문이다.
김특보는 金泳三(김영삼)대통령의 외국순방중 李漢東(이한동) 朴燦鍾(박찬종)고문 金德龍(김덕룡)의원 등 「3인 연대」 주자들과 정발협 핵심관계자들을 두루 만났다. 또 정발협의 徐淸源(서청원)간사장과도 여러차례 전화통화를 가졌다.
사실 정발협이 김대통령의 외국순방중 이전대표측에 대해 예상을 넘는 강도의 공세를 펴고 나서자 김대통령의 의중, 이른바 「김심(金心)」이 정발협에 있다는 소문이 꼬리를 물었다.
이전대표측도 그 배후에 김특보가 있는 게 아닌가 하는 강한 의구심을 보였다. 이 때문에 김특보는 지난달 28일 이전대표와 만나 『김대통령은 중립』이라는 사실을 역설했다는 것.
김특보는 이를 전후해 徐錫宰(서석재)공동의장 서간사장 등 정발협 핵심관계자들과도 만나 이전대표측과 정면충돌은 피해야 한다고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특보는 김대통령의 「특명」에 따라 경선 과열을 막고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행보를 계속해왔고 정발협은 1일 오후 상임집행위 회의에서 특정후보 지지를 않기로 의견을 모은 것이다.
김대통령은 귀국 후 김특보로부터 보고를 받은 뒤 정발협의 특정주자 지지금지와 대표서리체제라는 두가지 해법을 마련했다는 후문이다.
이 비장의 카드가 이전대표측에는 「눈엣가시」 같은 정발협의 활동중단을, 정발협측에는 이전대표를 「경질」한 듯한 인상을 주면서 나라회도 견제하는 성과를 각각 거두게 함으로써 양측을 고루 만족시킨 셈이다.
〈최영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