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대선 영남票 분석]유권자 896萬명 전체 28%

  • 입력 1997년 7월 29일 20시 25분


여야 3당의 대통령후보 확정에도 불구하고 「영남출신 후보론」이 끊이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는 엄청난 규모의 영남표 때문이다. 지난해 총선 기준으로 전체 유권자 3천1백만48만명 가운데 영남 유권자는 8백96만명(부산 경남 5백33만명, 대구 경북 3백63만명)으로 전체 유권자의 28%를 차지했다. 결집력 또한 만만찮다. 92년 당시 민주당의 金大中(김대중)후보는 호남지역에서 민자당의 金泳三(김영삼)후보보다 2백68만표를 더 얻었다. 그러나 김영삼후보는 영남지역에서 김대중후보 보다 4백5만표를 앞섰다. 이 차이, 즉 1백37만표는 당시 두 후보의 전체 득표차인 1백93만표의 71%에 해당한다. 지난 87년 대선에서는 1위인 민정당의 盧泰愚(노태우)후보가 영남지역에서 3백34만표를, 2위인 민주당의 김영삼후보가 2백84만표를 얻었다. 둘다 영남후보여서 이 지역에서의 50만표 차이는 만회가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올해 대선에서 영남표가 지난번과 같은 파괴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는 의원들은 별로 없다. 가시화된 영남출신 후보가 없는 데다 만약 영남후보가 나오더라도 과거처럼 결집력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지배적인 견해다. 지난 두번의 대선은 여당후보가 영남후보여서 「시너지 효과」가 크게 작용했다는 게 영남권 의원들의 분석이다. 92년 대선 당시 영남표의 68%가 여당인 김영삼후보에게 몰렸다. 한가지 예로 충청도 출신인 신한국당의 李會昌(이회창)후보가 지난 21일 경선 직후 본보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부산 52.4% △경남 67.9% △대구 40.4% △경북 43.8 %의 지지를 얻은 것도 이같은 전망을 뒷받침한다. 〈박제균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