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답한 李대표 「비주류 달래기」 잰걸음

  • 입력 1997년 8월 18일 20시 21분


신한국당 李會昌(이회창)대표가 「위기탈출」에 본격 나섰다. 두 아들의 병역 면제 의혹이 제기되면서 지지율이 급락하고 趙淳(조순)서울시장의 대선출마 선언으로 대선 전도(前途)에 어두운 그림자가 감돌자 「위기상황」에서 벗어나기 대응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대표측이 마련한 위기 타개책의 양축은 「비주류 달래기」라는 당내 결속차원의 내부용과 민생현장을 발로 뛰며 챙기는 「민생정치」라는 외부용 방안을 꼽을 수 있다. 먼저 이대표는 지난주부터 기아자동차 공장과 경부고속철도 공사현장, 농업구조조정 사업현장을 잇달아 방문하는 등 「민생정치」를 선보이며 야당과의 차별화에 나섰다. 18일에도 여의도 전철역에서 직접 휠체어를 타고 지하철표를 사는 장애인 체험을 했다. 또 한국산업단지 및 농업경영인 경남연합회행사 참석, 군위안부보호시설 및 지하철 공사현장 방문 등 향후 이대표의 일정은 민생현장 방문계획으로 꽉 채워져 있다. 이대표측은 『이같은 현장체험을 통해 국민이 목말라하는 현실성있는 정책을 내놓아 이번 대선을 정책대결로 승화시키는데 목적이 있지 결코 일시적인 국면전환을 위한 것이 아니다』고 강조한다. 이와 함께 당내 결속을 위해서도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대표 특보단이 17, 18일 연이어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내린 결론은 이대표가 직접 「경선 낙선주자 달래기」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었다. 특보단이 이대표에게 건의한 내용의 골자는 「이대표가 비주류 인사들을 만나 오해를 풀고 담판할 것은 담판해서 하루빨리 당내 분위기를 반전시켜야지 지금은 자존심을 내세울 때가 아니다. 반대진영 인사들을 끌어안는데 보다 적극적이고 유연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는 것으로 전해졌다. 먼저 이대표는 빠른 시일내에 李仁濟(이인제)경기지사와 朴燦鍾(박찬종)고문을 만날 수 있도록 막후접촉을 하고 있다. 또 경선 직후 만난 뒤 접촉이 없었던 李漢東(이한동) 李壽成(이수성)고문도 다시 만나 보다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할 계획을 세워놓았다. 이지사측은 당 총재 직선제와 복수 부총재선출 등을 골자로 한 당개혁안을 이번 주중에 제출할 예정이다. 다른 비주류 인사들도 협조를 조건으로 당 개혁 등의 요구사항을 들고나올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문제는 이대표가 이들 비주류 인사의 손에 쥐어줄 마땅한 「선물」이 별로 없다는 점이다. 이들의 요구를 다 받아들일 경우 당 운영이 어려워질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대표측은 이지사를 비롯한 「반이(反李)진영」에 섰던 인사들의 요구를 무시하고 넘어갈 수도 없어 절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신경을 쓰고 있다. 예를 들면 비교적 부담이 덜한 원내총무와 시도지사 경선, 전당대회 대의원증원 등의 당 개혁안을 수용하겠다는 선에서 절충이 가능하지 않겠느냐고 이대표측은 기대하고 있다. 과연 이대표가 비주류 인사들과의 접촉에서 정치력을 발휘해 당내 결속을 다져나갈 수 있을지에 당 안팎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영훈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