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 내부의 반(反) DJP연합 추진 움직임은 갈래가 많다. 물론 중심세력은 비주류 민주계다. 민정계 내에도 『이회창(李會昌)총재로는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행동은 소극적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민주계와는 달리 마땅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민주계 일각에서 대안으로 거론하는 가칭 국민신당의 이인제(李仁濟)전경기지사에 대해서는 『절대 안된다』는 게 민정계의 지배적인 분위기다.
민정계의 양대 산맥인 이한동(李漢東)대표나 김윤환(金潤煥)공동선대위원장도 같은 생각이다. 민주주의 원칙을 어긴 경선불복자를 지지할 수 없다는 원론 외에도 민주계 눈치를 보며 곁방살이를 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조순(趙淳)민주당총재에 대한 민정계의 거부감은 이전지사에 비하면 덜하나 득표력에 의문을 갖고 있다. 당내 기반이 전혀 없는 외부인사 영입에 따른 부작용과 위험성에 대한 우려도 많다.
결국 민정계로서는 반 DJP 연합을 한다 해도 이총재 중심으로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민정계 인사들은 반 DJP 연합의 성사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반 DJP 연합을 추진하는 민주계는 민정계의 동참 없이는 반 DJP 연합의 성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서 민정계의 눈치를 보고 있다. 하지만 민정계가 쉬 움직이지 않아 고민이다.
최근 민정계 내에선 당내 인사중 대안을 찾아보자는 얘기도 나왔다. 이대표와 이홍구(李洪九)고문이 「당내 대안」으로 거론됐으나 이들 역시 얼마나 경쟁력이 있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이총재의 거취다. 민정계는 인위적인 후보교체에 대해서는 『명분이 없다』며 반대한다. 이총재가 후보직을 끝까지 고수한다면 이대로 선거를 치를 수밖에 없다는 게 민정계 인사들의 기본입장이다.
그러면서도 내심 『이총재가 스스로 물러나 줬으면…』 하고 바라는 사람이 적지 않다. 만약 이총재가 용퇴한다면 민정계의 현재 분위기로 볼 때 「당내 대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선거에 지더라도 정체성(正體性)은 유지하자는 무언(無言)의 공감대가 민정계 인사들 사이에 형성돼 있다. 민정계 인사들이 비주류 민주계를 직접 겨냥해 『떠날 테면 떠나라』고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민정계 인사들도 이달 중순을 고비로 보고 있다. 그 때를 넘기면 더이상 선택의 여지가 없게 될 것이란 판단 때문이다. 한마디로 민정계는 능동적으로 대안을 모색하기 보다는 정국의 추이를 지켜보며 기다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임채청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