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2일로 예정된 김대중(金大中)차기대통령과 야당총재들과의 연쇄회담은 무엇보다 당면현안인 2월 임시국회 정상화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김차기대통령에게 있어 이번 임시국회는 국정운영 전반기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시험대다. 노사정합의와 대기업구조조정에 관련한 입법과 정부조직개편안 추경예산안 등 국제통화기금(IMF)사태를 타개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안을 이번 국회에서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 현안을 회기내에 처리하지 못할 경우 IMF체제극복이 차질을 빚을 뿐 아니라 ‘여소야대’구도하에서 시종 야당에 끌려다닐 것이라는 게 김차기대통령의 생각이다.
실제 국회상황도 이런 걱정을 더해주고 있다.‘거야(巨野)’인 한나라당은 정부개편안과 추경안은 물론 회기내 입법사항은 아니지만 전교조허용 등 노사정합의에 대해서도 반대하고 있다.
따라서 김차기대통령은 연쇄회동을 통해 이들 현안이 경제난극복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조치임을 강조하고 초당적인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김차기대통령은 △정부조직개편안은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위한 것이며 △추경예산안조기편성은IMF요구사항이고 △노사정대타협 역시 I
MF체제극복의 전제라는 점을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총재회담의 목적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임시국회현안은 아니지만 20일 발표하는 ‘JP총리’에 대한 임명동의도 ‘발등의 불’이다. 조각때부터 인사청문회를 도입해야한다는 야당의 주장을 철회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 김차기대통령은 ‘DJ대통령―JP국무총리’는 대선 승리를 통해 이미 국민으로부터 추인받은 것이라는 논리를 내세울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어려운난국을 감안,신정부에1년정도의 ‘밀월기간’은 줘야 한다는 입장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김차기대통령이 자민련 박태준(朴泰俊)총재까지 포함하는 명실상부한 4당 수뇌부회동을 마련한 것은 향후 여야관계의 기조를 ‘대화와 협력’으로 삼겠다는 뜻을 표명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김차기대통령은 이를 위해 이번 회동에서 ‘거국내각’구성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야당에 2,3명의 각료추천도 당부하는 유화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최영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