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나라당에선 ‘초선총재에 재선부총재’라는 말이 나돈다. 초재선의원들, 특히 초선들이 당 운영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빗댄 말이다.
자민련 김종필(金鍾泌·JP)명예총재에 대한 국무총리 인준 문제도 그렇다. 16일 여야 협상에서 인사청문회법안 처리가 3월 국회로 미뤄지자 다수의 초재선의원들은 당지도부에 “인사청문회 유보와 JP에 대한 총리 인준문제는 전혀 별개라고 공식 발표하라”고 압력을 가했다. 그 결과 맹형규(孟亨奎)대변인이 이를 발표했으며 이날 밤 한나라당 의원간담회에서도 재차 확인했다.
이에 앞서 이우재(李佑宰) 김문수(金文洙) 이신범(李信範) 홍준표(洪準杓) 안상수(安商守)의원 등 초선의원들은 ‘JP 인준 반대’서명작업을 추진, 소속의원 70여명의 서명을 받았다.
그러나 김종호(金宗鎬) 정재문(鄭在文) 현경대(玄敬大) 박세직(朴世直)의원이 인준 찬성을 밝히면서 ‘분파 행동’을 촉발한다는 지적에 따라 서명작업을 중단했지만 인준동의 여부에 대한 당론을 결정하는 20일 의원총회 직전까지 개별접촉 등을 통해 반대론을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또 총리 인준동의안이 상정되는 25일 국회본회의에 전원 불참하거나 기표소를 거치지 않고 투표함으로 직행하는 등의 ‘행동강령’도 준비중이다.
이들은 “JP가 새시대에 맞지 않는 대표적인 구악(舊惡)인데다 그의 총리 임명이 내각제 개헌을 전제로 하고 있다”고 인준반대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JP가 실세 총리가 될 경우 더욱 막강해질 DJP의 영향력이 수도권과 충청권, 일부 대구 경북지역의 기반을 앗아갈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배어 있다.
〈박제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