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에 대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평가다. 중앙선관위는 그 근거로 금품살포나 향응제공, 선심관광과 같은 후진국형 ‘매표(賣票)’사례가 거의 사라졌다는 점을 들었다.
95년 ‘6·27’지방선거때는 금품 및 음식물제공 선심관광사례가 3백31건 적발됐으나 이번에는 절반가량인 1백86건만 적발됐다. 이를 포함한 총선거법위반 적발건수도 95년 3천3백73건에 달했으나 이번에는 1천3백83건이 적발돼 60%정도가 줄었다.
‘비방 흑색선전’이 극심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선관위는 다른 평가를 내렸다.
김호열(金弧烈)중앙선관위 홍보관리관은 “과거 선거때도 비방 흑색선전은 심각한 수준이었으나 금권선거에 가려 주목을 받지 못했을 뿐”이라며 “이번에는 금권선거양태가 거의 사라지면서 후보자간 상호비방과 흑색선전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을 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선관위는 오히려 이번 선거에서 주목해야 할 대목으로 ‘신관권선거’의 등장을 꼽았다. 선관위 관계자는 “전국 어느 지역이건 지방공무원의 줄서기행태가 두드러졌다”며 “향후 지방선거에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또 지난해 15대 대통령선거에서 본격화된 미디어선거가 이번 선거에서는 오히려 후퇴한 점이 아쉬운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지역 민영방송과 유선방송의 등장으로 TV토론회 횟수는 95년 55회에서 이번에 1백11회로 두배가량 늘었으나 방영시간대나 시청률 등 실속을 따져보면 유권자의 관심도는 매우 낮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합동연설회나 정당연설회 등 집회는 급격히 퇴조했다.
이번 선거에서 전국적으로 3천8백18회가 열린 합동연설회의 평균청중수는 4백45명으로 95년의 5백72명에 비해 22%가량 줄었다. 그리고 7백29회의 합동연설회는 청중이 모이지 않아 아예 취소됐다.
정당 및 후보자연설회는 법적으로 개최가능한 1만1천1백84회의 14.8%에 불과한 1천7백49회에 그쳤다.
〈김정훈기자〉jngh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