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전의 과열혼탁 양상은 정치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신과 환멸을 키웠고 경제난까지 겹쳐 투표율이 크게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선거관리위원회와 사법당국은 바람직한 선거문화 정착을 위해 불법선거운동에 대해 엄격하게 조치할 것을 거듭 밝혀 당선이 취소되는 경우도 적지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사생결단식 대결을 벌인 후보 진영간의 앙금과 일부 공무원들의 줄서기 편가르기도 선거 후 지역사회가 공동체 의식을 회복하는 데 큰 장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는 95년 첫 지방선거에 비해 선거법 위반건수는 줄었지만 후보비방과 흑색선전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경찰청은 이번 선거기간중 불법선거운동 사례 1천1백79건을 적발했다.
경찰은 불법선거운동과 관련해 적발된 1천1백77명중 30명을 구속하고 2백55명을 불구속 입건했으며 나머지는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
1천1백79건중 후보비방 흑색선전이 4백36건으로 전체의 37%를 차지하고 있으며 금품이나 향응 제공이 3백42건으로 29%를 차지해 흑색선전이 극심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95년 지방선거 당시 후보비방과 흑색선전은 전체 선거법 위반 1천5백건중 20%인 3백건이었으며 금품 및 향응제공은 이번 선거와 비슷했다.
충북 단양군수선거에 출마하려던 국민회의 박주진씨(62)는 다른 출마예정자를 “처제와 불륜관계를 맺었다”고 비방해 구속됐으며 충남도의원선거에 출마하려던 무소속 이상일씨(45)는 “부여군의 골재대금 1백억원이 사라졌다”고 부여군수 출마예정자를 비방해 구속됐다.
선거에 개입한 공무원도 28명이나 적발돼 이중 2명이 구속됐다.
검찰은 선거사범을 철저히 수사해 혐의가 드러나면 전원 기소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공업용 미싱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킨 한나라당 김홍신(金洪信)의원을 비롯해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흑색선전을 한 고위 공직자 등 법의 심판을 받게 될 사람이 적지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준우기자〉haw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