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정치권 인사라 해도 비리가 있다면 결코 간과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고 한나라당은 “정계개편을 위한 야당 흔들기”라며 반발하고 있다.
국민회의 내부에서는 ‘한번은 거쳐야 할 통과의례’라는 시각이 다수다.
한 당직자는 “정치권을 보는 국민의 시선이 매우 따갑다”며 “이런 마당에 비리혐의자를 눈감아 줄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정치권 사정이 구여권 인사들에 집중될 경우 영남민심의 이반을 우려하는 모습이었다.
자민련은 국민회의보다 더욱 적극적이다. 박태준(朴泰俊)총재는 ‘7·21’재보선 기간중 “구여권 인사들이 각종 비리에 연관됐다는 의혹이 있다”며 “반드시 밝히고 넘어가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자민련측은 특히 구여권내 영남권 인사들을 겨냥해 “시간끌지 말고 차제에 칠 것은 쳐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박총재는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의 주례회동에서도 정치권 사정에 대해 여러차례 건의했다는 후문이다.
한나라당은 “금권 관권을 동원한 선거로도 안되니까 이제는 힘으로 밀어붙이겠다는 발상”이라며 여권을 비난했다. 또 그동안 여러차례 정치권 사정설이 나돌았지만 구체적인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을 들면서 “사정카드를 활용하기는 그리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분위기 탓인지 29일 오전 총재단회의에서도 이 문제가 깊이 거론되지는 않았다. 한나라당은 그러면서도 국회 후반기 원구성 이후 대대적인 사정바람이 불어닥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하면서 여러 채널을 통해 여권 내부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등 촉각을 세웠다.
한 고위당직자는 “최근 경북 강원지역의 기초단체장들이 대거 탈당한 것이 정치권 사정의 예고편일 수도 있다”면서 “여권이 정계개편을 위한 정치권 흔들기 차원에서 정치인 비리사정을 다음 시나리오로 생각하고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윤영찬·김정훈기자〉yyc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