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여권은 군이 완벽한 작전을 통해 잠수정을 격침시켰다는 점을 부각시키면서 북한측에 대해 위험천만한 침투행위를 계속한다면 준엄한 응징이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민회의 정동영(鄭東泳)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번 사건은 끊임없는 적의 간첩침투기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해안경계가 완벽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며 “그동안 일부 안전사고와 군기해이 사건 등으로 야기됐던 안보 불안감을 말끔히 씻어준 완벽한 작전수행이었다”고 평가했다.
박지원(朴智元)청와대공보수석도 “육해공군이 합동으로 기민하게 후방퇴로를 차단해 북한잠수정을 격침시킨 군의 작전을 높이 평가한다”며 “북한은 간첩선 남파 등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자민련 심양섭(沈良燮)부대변인은 “햇볕정책이 안보의식에 나쁜 영향을 가져오지 않도록 정부는 대북자세를 분명히 하고 북한의 사과도 받아내야 한다”고 주문, 국민회의와 다소 거리가 있었다.
반면 한나라당은 이번 사건을 대북정책의 허실을 드러낸 사건이라면서 국회 국방위 소집요구, 대변인 성명, 국회본회의 5분발언 등을 통해 파상공세를 폈다.
이회창(李會昌)총재는 주요당직자회의에서 “현정권은 햇볕정책이니 뭐니 하면서 모든 것이 잘 돼가는 것처럼 말하고 있지만 북한은 뒤통수를 치는 행위를 반복, 적화통일 야욕을 버리지 않고 있다”면서 “도대체 지금이 평화상황인지, 전시에 준하는 긴급 대치상황인지 분간이 가지 않는다”고 지적한 뒤 정부의 명확한 태도표명을 요구했다.
안택수(安澤秀)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지난번엔 쌀과 소떼를 보내준 뒤 잠수함과 잠수정이 침투했는데 이번엔 자동차를 보내주고 잠수정이 들어왔다”면서 “동서남해가 북한잠수정의 놀이터가 되고 있다”고 비꼬았다.
그는 또 “북한이 경제적으로는 남측의 햇볕을 수용, 과실을 향유하면서 군사적으로는 무장간첩선 남파 등 무력도발을 자행하는 이중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며 햇볕의 질량 조절과 군사적 전용방지장치 마련 등을 촉구했다.
〈양기대·이원재기자〉k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