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정국이 여전히 여야의 팽팽한 대립구도 속에서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벌써부터 여권의 불법선거운동을 끈질기게 추적하겠다는 전의(戰意)를 밝히면서 대여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는다. 여권의 ‘관행’을 방치할 경우 곧이어 실시될 서울 송파갑, 인천 계양―강화갑 재선거는 물론 내년 총선에서도 크게 불리하리라는 게 한나라당의 판단이다.
정치권의 시급한 당면과제인 정치개혁 협상을 둘러싸고도 여야는 한치 양보없이 줄다리기를 벌일 것으로 보인다. 4월8일까지 계속되는 임시국회도 여야의 한판 대결마당이 될 수밖에 없다.
여당은 이번 임시국회에서 국회법 개정, 경제청문회 결과보고서 채택, 한나라당 서상목(徐相穆)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 처리 등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모든 사안에 대해 강한 거부자세를 고수하고 있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 간의 17일 총재회담 합의도 어느새 퇴색해가는 분위기다.
문제는 여야관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번 재 보선은 공동여당과 야당 내에 제각기 복잡한 후유증 유발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일단 공조체제를 재확인하는 성과를 거두긴 했다. 그러나 공동여당 사이의 내각제 공방은 여전히 언제 터질지 모르는 지뢰로 남아 있다. 자민련은 재 보선까지 일시 유보해왔던 내각제개헌 공론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고 국민회의는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한 합당론으로 내각제정국을 돌파하려 할 것이 분명하다.
또 이번 선거에서 인물위주의 투표성향이 나타났다는 점에서 김대통령은 ‘젊은 피 수혈론’을 적극 추진하려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김대통령이 정치개혁과 내각제 공방을 일거에 돌파할 수 있을 정도로 개혁 드라이브를 걸기에는 이번 선거결과가 그리 흡족하다고 보기 힘든 게 사실이다. 이회창총재의 경우에도 비주류측이 선거결과에 불만을 나타내며 체제도전을 하고 나설 가능성 때문에 신경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는 처지다.
아무튼 여야 모두 정국주도권 장악을 위해 외곽전선을 형성하지 않을 수 없는데다 여야 내부적으로도 복잡한 역학관계가 작용, 4월 정국기상은 ‘맑은 날’보다는 ‘찌푸린 날’이 더 많을 것으로 봐야 할 것 같다.
〈김차수기자〉kimc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