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 이후/국민회의]힘실리는 수혈론

  • 입력 1999년 3월 31일 19시 16분


『수혈과정에서 직능단체를 많이 배려해달라.』

‘3·30’재 보선이 끝난 다음날인 31일 국민회의 조성준(趙誠俊)직능위원장이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젊은 피 수혈론’과 관련해 정균환(鄭均桓) 사무총장에게 건의한 내용이다.

조위원장은 “수혈대상으로 시민단체 인사나 전문가 집단이 주로 거론되지만 노동계와 농어민단체 의약사단체 변호사단체 등 각종 직능단체에서의 인재영입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밝혔다.이번 재 보선에서 인물위주의 투표성향이 분명하게 나타났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어가면서 국민회의 내에서 ‘수혈론’이 더욱 힘을 받는 것이다.

안양시장 선거 패배가 확정된 30일 밤 당 핵심관계자들이 “더 이상 의리에 이끌려 공천을 해서는 안된다”고 한 목소리를 낸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김정길(金正吉)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도 “일련의 재 보선에서 기존 정치인들이 불신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서 “수혈론은 시대적 요청”이라고 가세했다.

여기에는 야당생활을 같이 했다는 이유로 참신하고 개혁적인 인사의 영입을 소홀히한 데 대한 자책도 깔려 있다. 이 때문에 국민회의의 62개 사고지구당 위원장에 대한 물갈이를 시작으로 여권의 수혈작업을 본격화해야 한다는 쪽이 대세로 변했고 당지도부도 이를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그러나 무차별적인 수혈에 따른 부작용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아 수혈론이 급류를 탈는지를 예단하는 것은 아직 성급하다.

〈양기대기자〉k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