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의 강경방침은 서의원 문제를 처리하지 않고서는 국회정상화가 불가능하며 국기를 문란케 했다고 주장했던 ‘세풍(稅風)사건’도 흐지부지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
국민회의 한화갑(韓和甲)원내총무는 “국회가 서의원 문제로 마냥 공전하는 것보다는 이를 처리해 한두달 정국이 경색되는 게 낫다”면서 “7일 처리하지 못하면 8일의 조세형(趙世衡)총재권한대행의 중국방문도 수행의원없이 혼자 갈 수밖에 없다”고 단호한 의지를 밝혔다.
여권은 현재 공동여당 의석이 1백59석으로 과반수이어서 서의원 체포동의안 처리에 문제가 없다고 자신한다. 백내장 수술차 외국에 나가 있는 국민회의 서정화(徐廷華)부총재와 와병 중인 자민련 김복동(金復東)의원 등 2명을 제외하고 전원 참석이 가능하다는 것. 여기에다 소속의원의 표단속에 자신이 없어 소극적이던 자민련이 강경입장으로 선회한 것도 표결처리에 청신호라고 본다.
그동안 정국운영 과정에서 소외된데 대한 불만이 많았던 자민련은 서의원 처리과정에서 여―여(與―與)공조를 과시해 입지를 넓히겠다는 생각인 듯하다. 이 때문에 여권은 내부 이탈표에 대해 크게 걱정하지 않는 분위기다. 여권이 사활을 걸고 이 문제를 처리하려는 것을 아는 소속 의원들이 동료의원 문제라고 해서 반기를 들기 어려울 것이란 생각에서다. 특히 여당이 단독으로 강행할 경우 이탈표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무기명 비밀투표로 해야 하는 체포동의안은 표결절차에 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한나라당이 국회 본회의장을 점거해 저지할 경우 강행처리가 쉽지 않다. 국민회의의 한 원내부총무는 “체포동의안 처리에 최선을 다하되 한나라당이 물리력으로 막는다면 어쩔 수 없다”면서 “그럴 경우 국민이 한나라당을 심판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기대기자〉k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