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李會昌)총재는 일단 현행 소선거구제와 전국구 비례대표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되 공동여당의 단일안을 지켜본 뒤 본격적인 논의를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당 정치개혁특위는 12일 전체회의를 열어 “당론은 소선거구제이며 선거구제 변경문제를 추후논의할 수 있다”는 선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하지만 당내 일각에서 중대선거구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등 선거구 문제를 둘러싼 갈등양상이 드러나기 시작해 귀추가 주목된다.호남지역 위원장들은 지난달 중대선거구제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건의서를 이총재에게 제출했다. 또 수도권 출신의원 상당수도 “현행 소선거구제 하에서는 내년 총선에서 DJP연합공천에 맞서 살아남을 사람이 거의 없다”며 중대선거구제를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선거비용 절감, 지역감정 희석 등을 중대선거구제의 장점으로 내세운다. 그러나 영남권 의원을 중심으로 한 당내 소선거구제 지지파들은 대통령제 하에서는 양당제를 전제로 한 소선거구제가 적합하다며 반박한다.이같은 선거구제 논쟁은 정치개혁이나 정치발전과는 별관계가 없다. 의원 개개인이 자신이 처한 입장, 즉 선거에서의 유 불리에 따라 갖가지 주장을 펴고 있다고 해도 무리는 아니다.
지역구 사정에 따라 선호하는 선거구제가 다르다는 얘기다. 아무튼 당내 민정계 중진의원 상당수가 중대선거구제를 선호하고 있어 선거구제 논쟁이 자칫 이총재 중심의 주류와 비주류 간의 세대결 양상으로 번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김차수기자〉kimc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