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개혁―권력구조변경]전문가―시민단체 의견

  • 입력 1999년 4월 15일 19시 46분


전문가와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대체로 정치개혁 협상에 앞서 권력구조 논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쪽에 손을 들어주면서 일부 인사들은 여야간 대타협을 주문했다.

연세대 법학과 허영(許營)교수는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 의원내각제를 채택한 나라들 대부분이 소선거구제를 채택하고 있듯이 정치개혁의 핵심인 선거제도는 통치구조(권력구조)에 따라 달라지게 마련”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렇다고 해서 야당이 협상 자체를 거부할 게 아니라 당당히 참여해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실련 시민입법위원장인 이석연(李石淵)변호사도 “정치문화는 권력구조와 연결돼 있기 때문에 권력구조가 확정돼야 총체적인 정치개혁안을 마련할 수 있다”면서 “정치개혁 협상을 내각제 개헌 논의와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양대 법학과 양건(梁建)교수는 “정치개혁 과제 중 선거제도는 정부형태가 선결돼야 논의가 가능한 반면 정치자금법 정당제도 국회제도 공천제도의 민주화 등의 문제는 정부형태와 상관없이 논의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극단을 달리고 있는 여야가 절충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여성유권자연맹의 김민정(金玟廷)기획위원은 “권력구조 논의를 일방적으로 미룬 여당과 권력구조 논의없이 정치개혁 협상에 나설 수 없다는 야당 모두 옳지 않다”면서 “여야는 당장 협상에 착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종식기자〉k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