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정(金泰政)법무부장관의 거취문제를 둘러싸고 동교동계 일각에서 제기했던 ‘김장관 경질―김중권(金重權)비서실장 책임론’이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격노로 제동이 걸리면서 권노갑(權魯甲)고문을 주축으로 한 구주류의 입지가 위축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사건처리 결과도 경위야 어떻든 김중권비서실장 등 신주류 쪽에 무게를 실어준 형국이 됐다. 이 때문에 지난해 정권출범 이후,특히 ‘5·24’ 개각과정에서 소외감을 느껴온 구주류와 국민회의 일각에서는 김장관 유임이 결정된 직후 ‘김중권부통령’이란 냉소적인 반응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의 진행과정에서 구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동교동 내부도 미묘한 입장의 차이로 하나의 전선을 형성하지는 못한 분위기다.동교동계의 ‘맏형’격인 권노갑고문은 함구로 일관했지만 동교동계 일각에서 ‘김장관―김실장 동반퇴진론’까지 제기됐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김옥두(金玉斗) 김홍일(金弘一)의원 등은 ‘경질 불가론’에 가까웠고 한화갑(韓和甲)총재특보단장의 경우 신 구주류 갈등의 진화역할을 맡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그동안 여권의 중심축으로 부상한 청와대측의 김중권비서실장과 당쪽의 김영배(金令培)총재권한대행 한특보단장의 3각체제는 사건 처리과정에서 수시로 협의를 갖는 등 협조체제를 보이기도 했다.
아무튼 신 구주류간 감정의 골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더욱 깊어진 듯하다.
동교동계의 한 의원은 “저 사람들(신주류)은 ‘직장인’이지만 우리들은 ‘동지’”라며 “반드시 우리의 역할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관기자〉dk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