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큰 관심사는 김용환(金龍煥)수석부총재 등 내각제 강경파들의 거취. 이들은 그동안 “내각제는 국민과의 약속”이라며 연내 개헌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공동정권에서 이탈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해왔다.
김수석은 특히 97년 대통령선거 당시 “김총리가 안한다면 나 혼자라도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다짐했었다. 그는 최근 한 사석에서도 “나는 JP가 이러라면 이러고 저러라면 저러는 사람이 아니다”면서 독자행동 불사(不辭) 의지를 천명하기도 했다.
이인구(李麟求)부총재 강창희(姜昌熙)원내총무 등도 평소 비슷한 뜻을 내비쳤었다. “연내 개헌은 대선을 통해 국민의 뜻을 물은 사안으로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김총리가 개인적으로 좌지우지할 대상이 아니다”는 게 이들의 주장.
그러나 이들이 실제로 공동정권 이탈을 결행할지는 미지수다. 자민련의 실질적 지도자인 김총리가 개헌을 포기하면 박태준(朴泰俊)총재를 비롯한 자민련의 ‘비충청권’ 의원들이 이에 동조할 가능성이 높아 이를 극복하기가 쉽지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들이 설사 독자행동을 결행한다해도 충청권 의원들 가운데 몇명이 따를지도 미지수다. 내년 4월 총선까지는 8개월여의 시간이 남아 있는데 험난한 ‘야당의 길’을 자처할 사람이 많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이들은 일단 당내 동조 세력을 규합하면서 김총리의 마음을 바꾸는데 전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김수석과 강총무가 12일 밤 김총리의 연내 개헌 포기 발언을 극비에 부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들은 또 9월 전당대회를 통해 당권 장악을 시도할 것도 검토 중인 듯하다. 전당대회에서 연내 내각제 개헌을 당론으로 재확인, 김총리의 ‘변절(變節)’을 해당행위로 규정하면서 자연스럽게 박총재와 총재직을 놓고 한판 승부를 벌인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그럴 경우 김총리가 박총재 지지를 공개적으로 선언할 가능성이 높아 이들이 당권 확보에 성공할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김수석의 한 측근도 “박총재측과 1대1로 싸우면 몰라도 김총리가 지원하는 상태에서는 박총재를 꺾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김수석 등이 김총리와의 결별을 추진할 경우에는 ‘박수’는 받을지 몰라도 ‘실속’을 챙기기는 어려울 소지가 많다. 김수석이 여전히 침묵을 유지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인 것 같다.
〈송인수기자〉iss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