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진심’일까.
김대통령은 올 2월 ‘국민과의 대화’ 때도 “인위적으로 야당의원을 빼오거나 공작할 생각이 없다”고 밝히면서 “야당관리는 야당이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대통령은 “‘공작’은 걱정말고 ‘집안단속’이나 잘하라”고 충고까지 곁들였다.
하지만 그 이후 여권이 한나라당 의원 영입을 위해 부심하는 ‘흔적’은 끊임없이 감지됐다. 국민회의 한화갑(韓和甲)사무총장은 신당창당론으로 정치권이 발칵 뒤집힌 21일 한나라당 조순(趙淳)명예총재를 접촉했다.
한총장은 “야당 때부터 절친한 사이라 가끔 만난다”고 해명했지만 조명예총장과 동향출신인 한나라당 황학수(黃鶴洙)의원을 앞세워 회동을 시도하는 등 여러 정황으로 미뤄 누구나 ‘영입시도’로 느낄만했다.
그렇다면 지금 왜 국민회의 수뇌부가 야당의원 영입포기 입장을 밝히고 나서는 것일까.
영입대상으로 거론되던 한나라당 중진들이 합류명분으로 내세워온 ‘큰 틀의 정계개편’이 사실상 물건너간 분위기다. 게다가 수도권 야당의원들조차 국민회의측 정계개편 구상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는 상황 등이 그 이유인 듯하다.
한총장은 “야당에서 자발적으로 오려는 사람이 있는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한마디로 “없다”고 말해 이런 흐름을 뒷받침했다.
김대통령도 22일 광주 전남지역 인사들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임기도 얼마 남지 않은 야당의원들을 영입할 생각도, 관심도 없다”고 밝혔다.
〈김창혁기자〉ch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