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희(李良熙)대변인은 “국민회의가신당을창당하든 말든 그것은 그 쪽사정”이라며 “우리가 남의집 시집장가가는 일까지 신경 쓸 필요있느냐”고 말했다.
그는 또 공식성명을 통해 “자민련이 국민회의와의 합당 절차에 들어갈 것이라는 언론 보도가 있는데 이는 전혀 사실무근으로 자민련은 ‘보수본류(保守本流)’로서 당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못박았다.
박태준(朴泰俊)총재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국민회의의 당세 확장 움직임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그는 “거론되는 국민회의 영입 대상자들의 면면이 어떠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학자나 교수도 좋지만 당세 확장에는 오히려 조금 때가 묻은 정치인들이 도움이 된다”며 신통치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박총재는 또 “야당에 과거 민정당 시절부터 가까운 사람들이 많이 있다”면서 이들과의 관계를 비교적 소상하게 소개, 이들의 영입에 마음을 두고 있음을 내비쳤다.
하지만 이같은 겉공기와는 달리 자민련내에는 “국민회의가 몸집을 불려나가 결국 자민련을 흡수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대세를 이루는 분위기다.
김종필(金鍾泌)총리가 21일 기자회견에서 국민회의와의 합당 불가 입장을 천명했지만 실제로는 이미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한집 살림을 차리기로 의견을 모은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적지 않다.
이인구(李麟求·대전 대덕)전부총재는 “내각제개헌 포기 후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합당은 이미 정해진 수순”이라며 “합당이 구체화되더라도 이에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변웅전(邊雄田·충남 서산―태안)의원도 “독일이 분단시절에는 동독과 서독의 금메달을 합치면 세계 1위였지만 통독 후에는 오히려 메달 수가 줄었다”면서 “다른 것은 몰라도 합당은 안된다”고 잘라말했다.
그러나 비(非)충청권 의원들의 반응은 조금 다르다. 수도권의 P의원은 “현재 구도로는 자민련은 내년 총선에서 승산이 없다”며 “김총리가 주도적으로 여당의 신당창당에 나서면 적극 따르겠다”고 말했다.
〈송인수기자〉iss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