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8월 新黨창당/배경-향후정국]자민련 압박전략

  • 입력 1999년 7월 23일 19시 05분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22일 ‘젊은 피’ 수혈을 통한 ‘제2창당’방침을 밝힌 데 이어 국민회의 이만섭(李萬燮)총재권한대행이 23일 ‘8월 중 신당창당 선언’ 방침을 밝힘으로써 국민회의의 신당창당 구상은 일단 ‘1+α’방식으로 가닥이 잡혔다.

이같은 국민회의측의 방향선회는 당초 구상했던 자민련과 제삼세력을 망라하는 ‘2+α’방식이 자민련의 반발로 벽에 부닥침으로써 초래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런 입장변화에는 ‘2+α’방식의 신당창당을 실현하기 위한 ‘작전상 후퇴’라는 성격도 함축돼 있다는 게 정가의 보편적 해석이다.

이대행은 이날 자민련과의 합당문제에 대해 “양당 8인협의회에서 심도있게 논의될 것”이라고 여운을 남겼다. 결국 이 대목은 일단 국민회의 자체의 세불리기를 마친 뒤 2단계로 자민련과의 합당을 추진하겠다는 암시인 셈이다.

실제 자민련과의 합당 필요성에 대해서는 아직도 청와대와 국민회의 핵심부에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기색이 역력하다. 한 핵심관계자는 “연합공천을 할 경우 수도권지역에서는 자민련 공천지역의 대부분이 위험하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라며 “결국 안정의석의 획득을 위해서는 자민련을 포함한 큰 틀의 정계개편이 불가피하다”고 역설했다.

이런 맥락에서 야당인사들의 영입을 하지 않겠다는 여권지도부의 의지표명도 다소 믿기 어렵다는 게 정치권의 반응이다. 즉 ‘2+α’방식의 신당창당을 포기하지 않는 한 야당인사 영입은 버릴 수 없는 카드라는 얘기다.

아무튼 여권의 신당창당 구상이 ‘1+α’로 가닥이 잡힘에 따라 국민회의의 ‘제2창당’이 면모일신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지는 신진인사 영입작업의 성패에 달린 셈이다. 그러나 여권 핵심관계자는 “솔직히 아직까지는 ‘대어(大魚)’가 없다”고 실토했다.

여기에다 공동여당의 다른 축인 자민련이 국민회의의 세불리기에 경계심을 감추지 않고 있는데다 한나라당도 ‘장기집권음모’라고 공격하고 나서 국민회의의 ‘제2창당’이 새로운 정쟁의 불씨가 될 가능성도 작지 않다.

〈이동관기자〉dk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