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탓인지 현철씨 사면을 기정사실화하려던 여권 인사들도 요즘에는 이 문제에 대해 언급하기를 꺼린다. 국민회의의 한 고위관계자는 최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청남대 휴가에서 돌아오면 현철씨 사면을 건의하겠다는 뜻을 내비쳤으나 1일에는 “말을 꺼내지 않는 게 좋겠다”고 후퇴했다. 다른 핵심당직자도 “현철씨가 대선잔금 70억원에 대한 국고헌납 약속을 먼저 이행하는 등 ‘반성절차’를 밟아야 사면검토를 해도 할텐데 답답하다”며 “누군가 그런 메시지를 전해줬으면 좋겠는데…”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철씨가 이미 대법원 상고를 포기해 8·15 사면에 포함되지 않으면 구속수감되는데다 지난해 8·15에 이어 이번에도 현철씨 사면을 없던 일로 할 경우 여권에 또다른 정치적 부담이 된다는 점에서 사면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있다는 관측도 없지 않다. 김대통령이 정치현실과 여론 사이에서 현철씨 사면문제에 대해 어떤 답을 내놓을지가 관심사다.
〈양기대기자〉k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