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4일자는 1면 오른쪽 상단에 이같은 제목의 박스 기사를 실었다.
이 기사의 골자는 “평화방송 이도준(李到俊)기자가 ‘언론장악’ 문건을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의원에게 전달하기에 앞서 이총재를 찾아가 먼저 얘기했다는 기사는 사실로 확인되지 않았음에도 제작상 실수로 출고됨으로써 이총재에게 본의 아닌 누를 끼치게 됐다”는 것.
조선일보가 이같은 사과기사를 낸 것은 ‘문건 이회창총재와 먼저 상의’라는 제하의 기사를 3일자 1면 머릿기사로 보도했기 때문. 이 기사로 한나라당이 발칵 뒤집혔음은 물론이다.
이총재는 3일 주요당직자회의와 당무회의에서 “(여권이) 어처구니없는 거짓말을 흘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임있는 언론사가 사실관계를 확인하지도 않고 ‘…드러났다’는 식으로 보도하는 것은 이 나라 언론을 위해 통탄을 금할 수 없다. 언론이 이런 식으로 보도를 해서야 앞으로 언론자유의 온존을 기대할 수 있겠느냐”고 흥분했다.
회의가 끝난 뒤 당3역도 이례적으로 기자실로 내려와 “관(官)이 제공한 음해성 기사가 주요 일간지에 보도됐다”(이부영·李富榮원내총무) “이렇게 가면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남은 3년 임기가 온전하겠느냐”(하순봉·河舜鳳사무총장)고 목청을 높였다.
조선일보 강천석(姜天錫)편집국장과 김창기(金昌基)정치부장직무대리가 이날 오전 한나라당 당사로 이총재를 찾아와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고 사과했다. 방상훈(方相勳)사장도 강국장을 통해 유감의 뜻을 전했으며 김대중(金大中)주필도 이총재에게 전화를 걸어 사과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조선일보에 대한 법적 대응은 하지 않기로 했다.
한편 국민회의 한화갑(韓和甲)사무총장은 이날 오후 하총장에게 전화를 걸어 “그런 기사를 흘린 쪽은 국민회의가 아니다”고 밝혔다고 하총장은 전했다.
〈박제균기자〉ph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