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김대통령의 제의를 실현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반관반민(半官半民) 형태의 기구를 만드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 이는 우리측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외교안보연구원 세종연구소 등을 상대할 북한의 카운트파트를 찾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 북한 아태평화위원회가 대부분의 남북경협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범정부적인 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이같은 기구가 만들어질 경우 북측과 남북 간 경제적 격차를 줄이는 방안과 북한경제를 정상화시키는 문제 등을 집중 협의할 방침이다.
김대통령은 이와 함께 올해 남북관계 개선의 첫 번째 단추를 인도적 차원의 대북지원에서 찾을 것임도 분명히 했다. 즉 비료와 농약, 의약품 등을 지원해 줌으로써 북한이 대화의 테이블로 나올 분위기를 조성한 뒤 당국 간 접촉을 통해 이산가족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대통령이 제시한 경제공동체의 개념이 과거 정권이 제시했던 민족경제공동체(88년)나 한민족경제공동체(93년)의 개념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실효성 면에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북한측의 호응이 없으면 또 한번의 공허한 구상에 그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김영식기자>spea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