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연대는 이 방안을 9일 공천심사위원회가 구성된 민주당과 한나라당에 전달키로 하고 정치권이 이를 무시한 채 밀실공천을 계속할 경우 공천무효 확인소송과 공천심사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등 법적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총선연대는 부정부패나 헌정질서 파괴경력이 있는 공천반대명단 포함 인사를 공천에서 배제하는 대신 △정치 사회 개혁의지가 있으며 △비례대표의 경우 직능 대표성과 전문성에 기반을 둔 인물을 공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여성의 정치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비례대표후보중 30% 이상을 여성후보에게 할당하라고 촉구했다.
총선연대측은 이날 또 한나라당이 제기한 ‘시민단체-정부 유착설’에 대해 “행정자치부가 99년 1개 시민단체당 1억원을 지원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무근이며 행자부 자료에 따르면 99년 전국적 사업을 하는 단체에 지원된 돈은 평균 3600만원이고 지역단체에는 494만원만 지원됐다”며 한나라당이 제기한 ‘시민단체-정부 유착설’을 반박했다.
<이완배기자>roryrer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