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설왕설래되는 개편론의 요체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민련과 민국당의 합당설. 그러나 한나라당 비주류세력의 이탈가능성까지 점쳐지면서 갖가지 설(說)이 양산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미 후보등록일이 18일 앞으로 다가온데다 여야 4당이 지역구 공천을 거의 마무리하고 총력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총선전 정계개편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게 정치권의 지배적 시각이다.
하지만 이같은 조기 개편론이 나온 데는 그만한 속사정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는 각 당이 처한 사정에 따른 선거전략상의 필요성이 중첩되면서 아예 ‘조기개편론’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다시말해 현 상황에서 ‘총선전 개편론’과 ‘총선후 개편론’ 모두 선거양상에 크든 작든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여야 4당은 제각기 이같은 논란을 부추기거나, 반발하거나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민주당측과 한나라당측이 흘리고 있는 조기개편론이 이러한 범주에 속한다. 여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최근 “총선전 자민련과 민국당에 한나라당 일부 세력이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야당 세력의 통합설을 제기했다. 바로 이 개편론이 야권표의 분열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
한나라당은 대신 “JP가 총선 후 내각제 개헌을 매개로 민주당과 자민련 민국당을 합치는 ‘3당야합’을 또 한번 기도할 것”(9일 기자간담회·홍사덕·洪思德선대위원장)이라는 얘기를 흘린다. 이 또한 한나라당을 ‘유일야당’으로 부각시키기 위해 더할 수 없이 좋은 개편론이라는 얘기다.
<정연욱기자>jyw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