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최고위원은 10일 한국사회문화연구원이 ‘새천년의 바람직한 국회의원상’을 주제로 개최한 공개토론회에 참석해 “시민운동단체의 낙천 낙선운동은 정치의 부패와 후진성에 염증을 느낀 국민에게 희망을 던져주긴 했지만 이러한 운동만으로 참다운 정치개혁을 이룰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DJ야말로 지역당 구도에 가장 큰 책임이 있으며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도 무슨 정치현안이 생기면 부산에 내려가 지역감정을 불러 일으켰다”며 “그런데 이들이 명단에서 빠진 것은 낙천 낙선운동의 근본적 한계”라고 말했다.
그가 주장하는 정치개혁전략은 이상이 아니라 ‘현실적’ 대안. 즉 지역당 구도와 1인보스체제 극복을 위해 새로운 정치세력을 키워야 하며 이를 위해 1인보스체제의 ‘희생양’인 낙천 정치인들도 ‘동력(動力)’이 될 수 있다는 것.
민국당 지도부의 지역감정 자극 발언에 대해서도 그는 “용어구사가 다소 지나친 감은 있지만 해당 지역의 정서를 대변하다보면 그럴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옹호했다.
<정연욱기자>jyw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