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현 정부 출범 이후 민간 차원의 남북교류 활성화로 자신감을 얻은 정부가 이제는 정부 차원에서의 남북당국 간 대화와 교류로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해석된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지난달 31일 동아일보 창간80주년 기념회견에서 “총선이 끝나면 국민과 야당에 설명하고 본격적인 남북정상회담과 당국자회담을 추진하겠다”며 “선거후 중동특수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대규모 북한특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협의장소 구체언급 눈길▼
이어 민주당 서영훈(徐英勳)대표는 2일 “남북정상회담이 올해 안으로 가능할 것”이라며 남북 정부 간 접촉이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언급은 남북이 비밀접촉을 통해 상당히 구체적으로 당국 간 회담재개에 대한 협의와 진전을 이끌어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게다가 남북 간 협의장소까지 구체적으로 나오는 것을 보면 총선이 끝난 뒤 양측 당국간에 공개적인 접촉이 가시화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北, 베를린선언에 관심▼
남북간 협의채널도 상당히 포괄적이다. 정부는 우선 기본적으로 정부간 채널을 활용하고 있으며 국제기구와 민간 차원에서 남북을 왕래하는 인사 등을 활용하는 등 폭넓은 대화를 진행 중인 듯하다. 이 과정에서 북한은 그동안 남북경협에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게 김대통령의 얘기다. 그렇다면 이는 김정일(金正日)당총비서의 권력승계 이후 별다른 청사진을 발표하지 못한 북한이 대남 경제협력에 관심을 갖고 있지 않느냐는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당국간 회담을 통한 남북간 투자보장협정이 체결돼 북한 공단조성에 대한 한국기업들의 대규모 진출이 이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다만 정상회담 개최는 이같은 경제협력으로 남북간의 신뢰가 구축된뒤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김영식기자>spea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