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한나라당의 기본 전략은 정면 대응. 다만 후보신상 공개 문제가 ‘김대중(金大中)정권 2년 실정 심판’이라는 총선 성격 규정을 덮어버리지 않도록 시기를 보아 국면 전환을 하겠다는 것이 한나라당의 속내다.
총선 화두(話頭)가 개인신상문제로 흐르면 선거 막판의 반여(反與) 부동표 흡수에 치명적이라는 게 한나라당의 자체 분석. 한나라당 장광근(張光根)선대위대변인이 2일 성명을 내고 “40년간 소득세 한번 제대로 낸 적이 없고 6·25 당시 병역기피 의혹이 있는 김대통령이 납세와 병역 의혹의 원조”라며 민주당을 ‘병역면제당’이라고 몰아세운 것은 정면대응의 일환.
당 대변인실은 별도의 보도자료를 내고 “소득세나 재산세를 한푼도 안 낸 후보가 한나라당은 70명(지역구 59, 비례대표 11)인 데 비해 민주당은 83명(지역구 67, 비례대표 16)”이라며 “민주당이 한나라당을 ‘납세의혹당’이라고 비난한 것은 적반하장”이라고 비난.
한나라당은 ‘실정 심판’으로의 국면 전환을 위해 관권 금권선거 및 남북문제의 선거이용 등의 쟁점을 부각시킨다는 방침. 이회창(李會昌)총재가 2일 기자회견에서 “여당이 신상정보 공개를 야당후보 흠집내기에 악용한다면 이는 신종 관권선거가 될 것”이라고 경고한 것도 선거 이슈를 신상공개에서 관권선거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략에 따른 것. 또 김대통령의 ‘북한 특수(特需)’ 거론에 대해서는 ‘신북풍’으로 몰아간다는 방침.
▼민주당▼
후보 신상공개가 선거전에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제공했다고 판단, 이를 충분히 활용해 반사 이익을 챙기겠다는 전략.
민주당은 이에 따라 2일 하루 동안 후보 신상공개와 관련된 논평을 무려 5건 발표하면서 한나라당을 집중 공격. 김한길대변인이 먼저 “후보기록 공개는 국민의 요구”라며 분위기를 잡았고 박광순(朴光淳) 김현종(金鉉宗) 김현미(金賢美)부대변인 등이 나서 한나라당을 물고 늘어졌다.
‘한나라당 증여세 탈세 후보 7명의 해명과 사죄를 촉구한다’ ‘도덕적 386과 비도덕적 386’ ‘진짜 전과자인 한나라당 반(反)인권 3총사를 출당시켜라’ 등 논평 제목만 봐도 후보 신상공개에 대한 민주당의 집착 정도를 알 수 있을 정도. 민주당은 이와 함께 소속 후보들에게 재산 형성과정과 전과 등에 대한 소명자료를 제출하라고 지시하면서 한나라당과의 차별화에 주력. 김대변인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재산을 소유한 야당 후보들은 그 재산이 어떻게 모아졌는지 국민 앞에 밝혀야 한다”고 촉구. 한 관계자는 “이번 주 총선시민연대의 낙선자 명단 발표와 선관위의 전과 공개 등이 이어지면 수도권 부동표의 상당 부분이 민주당 쪽으로 기울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
▼자민련▼
‘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기조 아래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 이한동(李漢東)총재가 2일 기자간담회에서 “후보들의 병역 납세 전과 공개문제는 유권자들의 알 권리 충족의 차원을 넘어 국민의 올바른 선택권을 위해서도 빨리 공개돼야 한다”고 주장한 것도, 한나라당 이회창총재의 ‘합동검증반 구성’ 제의에 대해 “원칙적으로 동의한다”(이규양·李圭陽수석부대변인)는 입장을 밝힌 것도 이런 방침에 따른 것.
이에 따라 자민련은 우선 납세문제의 경우 “오해를 없애기 위해”라는 명분 아래 제도적 미비로 인해 신고를 안 하도록 돼 있는 종합토지세 납부실적과 배우자 및 직계 존비속의 납세실적을 당 차원에서 조사해 금명 발표할 계획.
또 병역문제에 대해서는 민주당과 한나라당이 공천한 운동권 출신 386세대에 대한 병역면제 특혜문제를 집중 제기해 보-혁구도로 유도할 계획.
나아가 전과 공개의 경우 각종 권력형 비리에 연루됐던 당 후보들에 대해 “정치적 ‘표적사범’으로 정치보복에 의한 희생양이었다”고 적극 감싸안으면서 민주당은 ‘좌경사범’이, 한나라당은 ‘비리잡범’이 많은 정당으로 몰아붙이고 있다.
▼민국당▼
각종 개인신상정보 공개에 따른 발빠른 대응으로 기존 정당을 압박하면서 차별화를 노리겠다는 전략. 여기에는 후보자 개인의 신상정보에 대한 공방으로 여야간 1대1 구도가 무너지는 대신 후보자 개인의 ‘각개전투’가 빛을 발할 것이라는 나름대로의 득실계산이 깔려 있다.
각 당 후보자들의 신상정보 검증을 위한 공동 진상조사를 제의한 데 이어 세금납부실적이 전무한 당 소속 이병석(李炳碩·서울 강북을)후보에 대해 탈당권유 조치를 내린 것도 이같은 전략의 일환. 특히 병역비리 의혹의 중심에 한나라당 이회창총재가 놓여 있다는 점을 집중 부각, 영남권에서의 세(勢) 반전을 노리겠다는 전략.
<박제균·이철희·정연욱기자> ph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