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한 동아일보의 여론조사기관인 리서치 앤 리서치(R&R)의 총선 사후 여론조사 결과 후보신상공개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자는 16.3%, ‘어느 정도 영향이 있었다’는 응답자는 24.9%로 나타나 총 41.2%의 응답자가 영향권 내에 들었다.
그 다음으로는 △‘많은 영향’ 13.7% △‘어느 정도 영향’ 21.8% 로 35.6%가 영향을 받았다고 답변한 ‘낙천 낙선운동’이었다. ‘남북 정상회담’은 ‘많은 영향’(4.5%)과 ‘어느 정도 영향’(12.9%)을 모두 합해 17.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후보자 신상공개가 유권자에게 미친 영향을 좀더 자세히 분석해 보면 한나라당과 민주당 간에 접전을 벌인 서울에서 특히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에서는 유권자의 절반에 가까운 49.5%가 ‘영향을 받았다’고 답해 전국 평균치보다 8.3%나 높았다. 또 대도시 거주자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고학력 고소득일수록 후보 신상공개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후보 신상공개의 3가지 항목인 ‘납세’ ‘병역’ ‘전과기록’ 공개의 영향력은 납세가 40.8%로 가장 컸고 △병역(29.1%) △전과(26.6%) 순이었다.
시민단체의 낙선운동도 서울에서 가장 큰 영향(43.1%)을 미쳤고, 인천 경기에서는 32.5%가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나머지 지역은 큰 편차가 없이 32∼37%대를 기록했다.
시민단체의 낙선운동 역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았고, 연령 학력 소득별 영향 정도도 후보 신상공개와 비슷했다.
남북정상회담의 영향력 평가 결과 지역에 따라 편차가 상당히 컸다. 호남지역이 가장 높아 22.7%가 ‘영향을 받았다’고 답한 반면대구 경북에서는 불과 11.0%만이 영향력을 인정해 전국 평균치인 17.4%에 크게 못미쳤다.
<윤영찬기자> yyc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