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분위기는 16일 추진위원회와 준비기획단 등 남북정상회담 운영기구가 정부 내에 확정되면서 다소 수그러졌지만 22일 남북 실무접촉에서 김대통령의 수행인원이 확정될 경우 수행단에 참여하기 위한 로비전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당초 정상회담을 총괄 준비 감독하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면서 박재규(朴在圭)통일부장관, 임동원(林東源)국가정보원장, 황원탁(黃源卓)대통령외교안보수석비서관 등 3명만을 추진위원으로 임명하려 했다.
그러나 국무조정실 외교부 국방부 경제부처 등에서 각기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며 “우리가 빠져서는 안된다”고 강하게 이의를 제기해 최재욱(崔在旭)국무조정실장, 이정빈(李廷彬)외교통상부장관, 이기호(李起浩)대통령경제수석비서관이 포함되고 조성태(趙成台)국방부장관만 제외됐다.
이 때문에 “이기호수석을 제외하고는 추진위 멤버들이 모두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멤버와 겹치는데 굳이 별도의 조직을 둘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 제기되기고 했다.
정부 내에서는 대략 6∼8명이 될 것으로 보이는 정상회담 수행 장관급 인사 명단에 과연 누가 포함될 것인지에 대해서도 벌써부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각 부처의 이같은 신경전은 추진위 산하 준비기획단과 기획통제실 구성 과정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외교부의 의전관련 부서에서는 북한이 ‘특수지역’이라는 점 때문에 타부처가 대통령 의전에 개입할 것을 우려해 ‘정상회담에서의 의전을 외교부에서 주도해야 하는 이유’를 적은 홍보물을 만들어 관계부처에 전달하기도 했다.
또 청와대와 통일부 관련부서에는 기획단 구성 직전에는 “어떻게 하면 기획단에 포함될 수 있느냐”는 문의전화가 이어졌고 직후에는 “왜 우리는 빠졌느냐”는 항의전화가 빗발쳤다.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에서도 정상회담 수행팀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민주당 내의 통일 외교통인 정대철(鄭大哲)당선자는 “남북정상회담 때 대통령과 함께 북한을 방문하기 위해 정부측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는 성격이 다르지만 관계부처에는 미국과 일본 등 전 세계 유수의 언론기관으로부터 “우리만은 반드시 평양취재를 해야 한다”는 전화가 하루 수십통씩 걸려와 관계자들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윤영찬·김영식기자> yyc1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