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그동안 검찰수사에 대한 불개입방침을 강조해온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 하지만 이런 표면적인 반응에도 불구, 청와대 내부의 주된 분위기는 재수사가 불가피하다는 쪽이다.
남궁진(南宮鎭)정무수석비서관은 사견임을 전제하면서 연일 “국민적 의혹으로 증폭된 사건인데 어떻게 재수사를 하지 않을 수 있겠느냐”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신광옥수석도 한편으로는 “검찰이 맥없이 자료를 분석하겠느냐. 수사는 원래 천천히 해야 한다”며 재수사 가능성을 시사했다.
청와대의 이런 기류는 공연히 전 정권 때의 일로 상처 입을 필요가 없다는 현실적 판단에 따른 것으로 김대통령도 재수사를 원하고 있으리라는 게 측근들의 한결같은 얘기다. 다만 김대통령으로서는 검찰에 대한 간섭이 낳을 파장이 부담스럽고 9일로 예정된 김영삼(金泳三)전대통령과의 회동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어 말을 아끼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청와대는 검찰이 ‘알아서 해주기를’ 바라는 눈치지만 검찰에서 ‘재수사 불가’를 고집할 경우 ‘벙어리 냉가슴 앓듯’ 고민만 쌓여갈 것 같다.
<최영묵기자>ymoo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