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여권에서 기정사실처럼 얘기돼 왔던 ‘정상회담후 7월 당정(黨政)개편론’이 한발 물러서는 듯한 조짐이다. 그 대신 정상회담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당분간은 현재의 당정 진용을 유지, 총력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어 가는 분위기다.
민주당 등에서 제기돼 온 ‘7월 당정개편론’은 △총선후 인물 배치의 변화 △국회 상임위원장 인선에 따른 여권내 인재 풀 조정 △자민련과의 여여 공조 복원 등으로 정치 상황이 변한 만큼 이한동(李漢東)국무총리서리에 대한 국회 동의 절차가 끝나는 대로 조기에 개각을 단행해야 한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그러나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으로 인해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경의선 철도 연결, 상호 비방 중지 등 범정부적 차원에서 시급히 추진해야 할 당면 현안이 생김에 따라 모든 상황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작업이 불가피해졌다는 것이 여권 지도부의 판단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그동안 7월 당정 개편을 검토해 온 게 사실이나 지금은 상황이 변했다”며 “현시점에서 당정 개편을 말하면 여권의 관심이 온통 여기에 쏠려 8월로 예정된 남북관계 대사(大事) 준비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다른 핵심 관계자는 “현 당정 진용에 특별한 실무적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닌 만큼 당분간 총력 체제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이와 관련, 여권내에선 8월 대사 중에는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포함돼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런 만큼 당정 개편의 시기는 상당 기간 늦춰질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윤승모기자>ysm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