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경영연구소는 20일 남북경제협력 확대로 사회간접자본(SOC) 분야에서 철강특수가 예상되지만 북한 철강산업과 협력할 만한 경제적 동인(動因)이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포항제철은 유상부(劉常夫)회장이 전무이사로 재직하던 91년 기술팀과 함께 북한 제철소를 방문, 설비진단 평가서를 낸 이후 선철 합금철 1만8000t을 북한으로부터 반입하고 강판 제품 5000t을 반출하는 등 대북 협력을 꾸준히 모색해왔다.
포스코경영연구소는 북한의 철강 설비 대부분이 일제 강점기에 설치되고 제강 및 압연 설비의 40% 이상이 구소련이나 중국에서 제조된 것으로 대부분 개 보수 대상이라고 분석했다.
시설을 개 보수한다해도 생산성이 취약해 남북경협의 진전으로 철강 제품 수요가 늘어나면 공급을 뒷받침하기 어렵기 때문에 남한 제철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이 연구소는 진단했다.
북한의 철도 도로 항만 건설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할 경우 철근 형강 등의 수요가 발생해 인천제철과 같은 남한의 전문 업체가 이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했다.
장기적인 남북한 철강 협력은 북한 철강산업의 전면적인 재편과 함께 전력 석탄 등 에너지 산업의 발전이 전제돼야하고 이를 추진할 수십조원의 재원이 필요하다는 것.
이 연구소는 막대한 자금 없이는 실질적인 남북 협력을 기대할 수 없다고 분석한 뒤 ‘동포애’나 ‘민족적 책임감’의 논리로 통일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소는 국민과 기업이 동독제철소가 투자 가치가 없다고 판단해도 사회적 책임감 등을 앞세워 동독 제철소에 대규모 자금을 지원한 서독 제철소를 사례로 들면서 장기적으로 이런 방식의 접근을 검토해볼 만하다고 밝혔다.
<정위용기자>viyonz@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