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黨政동반 쇄신론 힘실린다

  • 입력 2000년 8월 29일 18시 44분


민주당 윤철상(尹鐵相)전 사무부총장의 발언 파문과 송자(宋梓)교육부 장관의 국적 시비 등으로 여권이 어수선한 가운데 일각에서 당정 ‘동반 쇄신론’이 대두되고 있어 주목된다.

당초 여권은 윤 전 사무부총장의 ‘선거비용 실사 개입 의혹 실언’에도 불구하고 대폭적인 당 쇄신은 하지 않는다는 방침이었다. ‘민주당 해체’까지 들먹이는 야당의 전략에 말려들 수 없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송장관이 삼성의 사외이사 재직시 주식을 특혜 취득한 의혹이 제기된 데 이어 29일에는 국적 상실 및 취득 과정에서도 편법을 동원했다는 의혹이 새로 불거지면서 분위기가 달라지는 상황이다.

우선 송장관에 대해서는 “이제는 본인이 알아서 거취를 결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여권 요로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한 핵심 관계자는 “우리야 송장관을 충분히 이해하는 입장이지만 이런 식으로 여론의 비판이 계속된다면 문제”라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일각에선 최근 ‘먼 친척’의 은행 특혜 대출 사건과 관련해 모 장관의 거취문제도 거론되나 여권 핵심의 분위기는 “해당 장관의 결백이 충분히 소명됐다”는 입장이다.

정부쪽의 그런 문제들이 자충수에 시달리는 민주당 쪽의 열악한 사정과 겹치면서 여권 내에서 ‘강력한 당정체제’ 구축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28일 “강력한 정부, 강력한 집권 여당”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도 심상치 않은 대목이다.

민주당에선 당장 30일 전당대회의 지도부 구성 내용이 관심사다. 한 재선의원은 “‘윤철상파문’은 그동안 당을 장악해온 ‘핵심그룹’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 사례”라며 “그런 구식의 당 운영을 쇄신하지 않는 한 강한 집권당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김대통령이 전권을 행사할 지명직 최고위원 구성 내용을 보면 이 같은 ‘핵심 그룹’ 위주의 당 구조에 대한 쇄신 의지를 가늠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구 야당출신 인맥의 대표인 김영배(金令培) 권노갑(權魯甲)고문의 최고위원 지명 여부가 새삼 관심을 끌고 있다.

두 사람은 당초 최고위원 지명이 당연시됐으나 ‘윤철상 파문’ 이후 회의론도 없지 않은 상황이다. 권고문에 대해서는 “권고문의 당내 비중상 최고위원을 맡을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 여전히 대세이지만 김고문은 선거비용 문제로 고발을 당한 처지여서 상황이 불투명하다.

일각에선 당 쇄신의 상징적 조치로 ‘관리형 영입파’인 서영훈(徐英勳)대표의 교체 문제도 한때 거론됐으나 ‘대안 부재론’에 밀린 것으로 알려졌다.

<윤승모기자>ysm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