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그 자리에 김중권(金重權)대표 박상규(朴尙奎)사무총장 남궁석(南宮晳)정책위의장 등 비동교동계 인사들이 대거 들어와 과거와는 다른 당의 면모를 보여주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하지만 김대표체제 하에서 과연 당이 새롭게 거듭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더 많은 게 사실. 또 당권의 핵심이 동교동계에서 비동교동계로 이동했지만, 시스템이나 체질의 변화가 아니라 단순한 인물과 세력의 교체일 뿐이라는 회의론도 만만치 않다.
▼달라진 '당내역학'▼
▽동교동계 핵심들은 지금?〓동교동계의 한 핵심인사는 최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으로부터 “자네는 당의 일에 절대 관여하지 말게”라는 말을 들었다. 그는 그 후 당에 대해서는 “나는 입이 없다. 아무 것도 모른다”는 얘기만 반복하고 있다.
권 전최고위원도 당내외 인사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끊어버렸다. 김 전사무총장은 “지금은 당 대표를 중심으로 뭉칠 때”라며 김대표 체제를 측면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완전히 세(勢)를 잃었다고 보는 사람은 드물다. 지금은 말 그대로 동교동계 핵심들의 ‘일시적 퇴조기’일 뿐, 언젠가는 다시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또 자리에 관계없이 일정한 영향력을 유지할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김대표 체제의 쇄신의지〓‘공조직 따로, 비선라인 따로’라고 했던 당의 이중구조에 대한 비판과 우려는 권 전최고위원의 퇴진으로 일정 부분 정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신 김대통령과 그의 비서실장을 했던 김대표 사이에 ‘핫라인’이 구축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서영훈(徐英勳)전 대표와 권 전최고위원이 분담했던 당내 역할이 김대표 한 사람에게로 모아지고 있고 그에 따라 ‘힘’도 김대표 쪽으로 쏠리고 있다.
당에서 김대통령으로 통하는 언로(言路) 또한 김대표를 비롯한 비동교동계가 독점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실제로 김대표는 하루에도 몇 차례씩 김대통령과 직접 통화하면서 당 운영방침을 상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청와대 미묘한 관계▼
▽친정체제 강화〓그렇다면 다시 ‘당의 자율성’이 문제가 된다. 여권의 한 핵심관계자는 “김대표는 ‘김중권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김대통령의 비서실장’자격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동안 김대통령은 ‘당이 모든 것을 알아서 하라’고 지시해왔지만 당 핵심부가 청와대만 바라보며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왔다”며 “김대통령은 이제 당에 대해 ‘모든 것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친정체제 강화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지금까지의 ‘비공식적 대리인’(권 전최고위원) 대신 ‘공식적 대리인’(김대표)을 내세운다면 그게 그거 아니냐”는 얘기다.
김대통령이 당에 무게를 실어주려면 당의 인사권과 정책결정권을 보장하고, 최고위원들의 권한을 강화해주는 등 ‘시스템’으로 뒷받침해야 하는데 아직 그런 조치들이 뒤따르지 않고 있다는 지적인 것이다.
▽당과 청와대의 미묘한 관계〓김대표와 김원기(金元基)상임고문이 대표직을 놓고 경합했을 때 일부 청와대 관계자들은 “지금의 핵심 화두는 당의 화합과 원만한 대야관계이며, 여기에는 김고문이 적격”이라고 노골적으로 얘기했었다.
더욱이 김대표가 취임 후 무슨 사안이 생길 때마다 김대통령과 전화통화로 상의를 하자 청와대 내에서는 벌써부터 미묘한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앞으로 비서실장이나 정무수석이 당에 간섭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거나 “김대통령과 김대표 간에 오가는 얘기를 비서실장이나 정무수석이 모르는 일도 생길 것”이라는 얘기들도 나오고 있다.
사실 당의 힘은 비동교동계로 일원화되는 양상이지만 여권 전체로 봤을 때는 ‘청와대는 동교동계, 당은 비동교동계’라는 ‘이중구조’가 유지되고 있고 여권의 내적 갈등은 오히려 심화될 가능성도 있다.
<김창혁·윤영찬기자>ch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