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기부 돈 총선유입 의혹]'판도라 상자' 3개월만에 열리나

  • 입력 2001년 1월 3일 18시 46분


지난해 10월4일 동아일보의 특종보도로 처음 알려진 ‘안기부 돈 총선자금 유입의혹’사건이 3개월간의 잠복기를 거쳐 다시 ‘부활’했다.

▽수사과정과 보도경위〓검찰은 지난해 10월 본보에 의해 수사사실이 알려지자 “고속철도 차량선정 로비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알 수 없는 돈’의 흐름이 발견돼 추적중”이라는 선에서 여론을 진정시킨 뒤 극비리에 추가 수사를 진행해 왔다.

▼수사지장 우려 엠바고▼

검찰은 수사가 어느 정도 무르익었을 무렵인 지난해 12월 초 검찰담당 기자단에 “계좌추적과 관련자 소환조사가 필요한데 수사기밀이 새나가면 수사에 큰 지장이 초래된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연말까지 ‘엠바고(보도 자제)’를 요청했다.

검찰은 새해 들어서도 약 2주간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엠바고 연장을 요청했으나 기자단이 이를 거부하면서 사건은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게 됐다.

▽수사전망〓대검 관계자는 3일 “일체의 수사상황에 대해 말할 수 없다”며 함구했다. 그러나 검찰은 그동안의 계좌추적을 거쳐 사건의 전말을 상세하게 밝혀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제 남은 것은 관련자 소환조사. 우선적인 소환 대상자는 신한국당측에 수백억원을 전달한 안기부 간부. 다음은 최초로 이 돈을 전달받아 소속 후보자들에게 전달한 신한국당 간부다.

▼YS-권영해씨 개입여부 관건▼

관심의 초점은 당시 신한국당 총재였던 김영삼(金泳三)전 대통령과 권영해(權寧海)전 안기부장이 이 같은 사실을 사전 사후에 알았는지, 사전에 알았다면 얼마나 개입했는지에 모아진다. 이에 대해 김전대통령과 권전부장은 지난해 10월 본보의 첫 보도 당시 “전혀 알지 못하는 일”이라고 부인한 바 있다.

▽사법처리 여부〓검찰의 한 관계자는 “관련자들에 대한 소환조사 결과에 따라 사법처리는 매우 유동적이다”고 말했다.

특히 김전대통령과 권전부장이 개입했을 경우 돈은 ‘통치자금’이라는 명목으로 검찰이 사법적 잣대를 들이대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찰은 진상은 밝히되 사법처리는 하지 않는 선에서 수사를 마무리할 가능성도 있다.

돈을 받은 정치인들의 경우 돈의 출처를 알았느냐, 몰랐느냐 등에 따라 처벌 여부가 결정된다.

<신석호기자>kyle@donga.com▼대검 박상길기획관 문답 "넉넉잡고 보름내 결론낼것"▼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