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기사▼ |
강부총재는 이번 사태 해결을 위해 △민주당과 자민련은 이적의원 3명을 원상회복시키고 △한나라당은 국회법 개정에 적극 나서야 하며 △자민련 교섭단체 구성은 여야간 타협에 의해 해결돼야 한다는 3가지 방안을 제의했다.
자민련이 교섭단체 구성요건(의원 20명)을 갖추고도 교섭단체 등록을 못하는 상황을 맞게 됨에 따라 부산에 체류중인 김종필(金鍾泌)명예총재는 5일 아침 귀경, 강부총재를 만나 담판을 벌일 예정이라고 김명예총재의 한 핵심측근이 4일 밝혔다. 자민련은 이날 임시 당무회의를 열어 강부총재를 제명키로 결의하고, 제명 절차와 시기는 김종호(金宗鎬)총재대행 등 당 5역에게 일임키로 했다.
그러나 이같은 결정에 대해 정진석(鄭鎭碩)의원은 “정치를 그만두는 한이 있더라도 절대 승복할 수 없다”며 “중대한 결심은 한 사람(강부총재)만으로 그치지 않을 수도 있다”고 강력 반발했다.
한편 한나라당 정창화(鄭昌和)총무는 이날 오전 한때 “이적의원 3명이 민주당으로 복귀한다면, ‘의원 꿔주기’라는 불행한 역사를 남기지 않기 위해, 교섭단체 요건을 완화하는 국회법 개정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오후 들어 강부총재 제명 결의 소식을 전해 듣고 “자민련이 ‘의로운 사람’을 잘라버렸으니 교섭단체가 될 능력이 없음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며 “교섭단체 논의는 일고의 가치도 없어졌다”고 말했다.
<박성원·선대인기자>swpark@donga.com